테니스엘보, 골프엘보 상과염 epicondylitis

 

1)상과염은 팔꿈치 관절의 상과 기시부(, 외측 상과,손목을 굴곡 또는 신전하는 근육이 시작되는 지점)에 동통이나 국소 압통이 생기는 증후군을 말하며, 팔꿈치 관절 통증의 가장 흔한 원인 중 하나 입니다.

 

 

2)테니스, 골프 등 을 쓰는 운동을 지나치게 하거나 직업상 팔을 많이 쓰는 사람에게서 발생 합니다.

 

바깥쪽 상과염을테니스엘보’, 안쪽 상과염을골프엘보라고 부릅니다.

많이 쓰는 팔에 잘 생기며, 테니스와 골프 외의 다른 운동으로도 많이 발생하고, 컴퓨터 사용자, 주부, 목수, 요리사 등 팔을 많이 사용하는 직업 군에서도 빈도가 높습니다.

 

3)상과염은 손목관절의 폄근육, 굽힘근육이 과도한 부하가 가해지거나 반복하여 무리하게 사용된 경우에 발생 합니다.

 

특히 근육이 수축하면서 과도한 부하가 걸리면 힘줄에 현미경적인 미세한 찢김(파열)이 발생하게 되는데, 치유과정 중에도 반복적인 부하가 가해지면 정상적으로 치유되지 못하고 불완전하고 비정상적인 상태로 치유되어 만성 통증이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4)상과염 생기면 팔꿈치의 안쪽 또는 바깥쪽 위관절융기(상과)에서 시작되는 통증이 아래팔로 뻗쳐가는 임상적 양상을 보입니다.

 

대부분 서서히 진행하여 발병시점을 정확히 모르는 경우가 많지만, 급성으로 시작하여 비교적 정확한 손상 병력을 밝힐 수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통증은 미약한 정도부터 밤에 잠을 못 잘 정도로 심한 상태까지 다양하며, 세수나 식사 등의 일상활동이 어려운 경우도 있습니다.

 

5)신체 검진으로 팔꿈치 상과 밑 1~2cm 지점에 누르면 통증이 심한 부위(압통점)가 있고, 환자가 손목관절을 펴거나 구부릴 때 검사자가 강하게 손목 운동에 반대되는 힘을 주면 통증이 유발될 때 상과염으로 진단할 수 있습니다. 단순 방사선 사진, 초음파 검사, MRI가 진단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검사

단순 방사선에서 상과부에 뼈겉질이 굳어 있거나 석회화된 소견이 보일 수 있습니다.

 

초음파 검사는 민감도가 MRI 보다 떨어지지만 힘줄이 손상된 정도를 알 수 있고, 건초염을 확인하여 일차적 진단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유용 합니다. MRI는 오랜 기간의 보존적 치료에도 증세가 나아지지 않는 경우, 힘줄이 손상된 정도를 확인하고 다른 원인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필요한 검사 입니다.

 

치료

일반적인 치료의 원칙은 통증의 조절, 염증 완화, 연부 조직 자연 치유 촉진, 근력 회복, 활동의 복귀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 보존적 치료만으로 충분히 회복될 수 있으며, 보존적 치료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휴식 입니다.

과하게 근육을 사용하여 힘줄에 반복적으로 부하가 가해지면 손상된 힘줄이 정상적으로 회복될 수 없으므로 근육 사용을 최소화 하여야 합니다.


통증 조절과 인대 증식을 위해 프롤로 주사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표재열과 심부열을 사용하는 물리치료도 도움이 되고. 그 외에 체외 충격파 치료도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보존적 치료를 충분히 하였는데도 호전이 없다면 수술적 치료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수술적 방법으로는 병적인 조직학적 변화가 있는 부위를 제거하고 다시 봉합하는 방법, 관절경을 이용한 수술 등 여러 방법이 소개되고 있습니다.

 

무조건 어느 하나가 좋은 게 아니고 팔꿈치 관절의 힘줄이나 인대 상태에 따라 가장 적합한 방법을 선택해야 합니다.

 

 

 

 

골프손상의 원인 -

 

1.부정확한 자세(static stability 결여)

2.나쁜 스윙궤도(swing mechanics)

3.불충분한 워밍업

4.관절과 근력의 유연성결핍(dynamic stability 결여)

5.반복적인 과도한 연습

 

1)프로골퍼의 경우는 허리, 손목, 어깨손상의 순으로 많으며, 아마츄어 골퍼는 팔꿈치, 허리, 어깨 손상의 순으로 많습니다. 이중 상당한 치료를 요하는 중등도 손상은 26.8%이며, 심각한 손상은 21.7%입니다.

 

2)스윙궤도가 나쁜 아마츄어 골퍼는 이를 보상하기 위해 과도하게 힘을 주면서 근육이나 인대를 사용하기 때문에 손상의 위험도가 증가하게 됩니다.

 

3)아마츄어 골퍼는 프로골퍼에 비해 요추에 80%나 큰 최대토크를 나타내므로 평소에 스윙에 필요한 핵심 근육들 즉 힙, 허리, 복부 근육의 유연성, , 지구력을 기르도록 노력하는 것이 좋습니다.

 

4)잘못된 스윙기술에 의한 손상으로서, 특히 임팩트 후에 피니시를 제대로 하지 않는 경우 갑작스런 감속으로 인한 손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5)계절적으로는 겨울에서 봄으로 넘어가면서 겨울에 연습이 충분하지 않았던 경우 골프 손상이 발생하기 쉽습니다.

 

골프손상의 역학

1.팔꿈치통증:아마츄어 골퍼는 왼팔의 테니스엘보(외측 상과염)와 오른팔의 골프엘보(내측 상과염)가 남녀모두에게 흔합니다.

프로골퍼의 경우는 운동이 과도해서 오는 것이며, 아마츄어 골퍼는 잘못된 자세나 스윙으로 인한 것입니다.

 

2.허리통증:프로 골퍼들의 스윙시에는 척추와 몸통 근육의 80% 정도만 사용하는 반면, 아마츄어 골퍼의 경우 90%의 힘을 이용합니다. 아마츄어는 스윙시 근육의 사용 패턴이 불규칙한 반면, 프로는 일정한 사용패턴을 이용합니다.

 

또한 유연성이 부족한 골퍼의 경우 원활하지 못한 백스윙과 팔로우-스루우로 인해 허리통증이 올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골프손상

1.어깨

1)회전근개건염

2)극상건 석회화건염

3)상완이두근건염

4)회전근개손상

5)충돌증후군

6)어깨 점액낭염

 

2.팔꿈치

1)골프엘보

2)테니스엘보

 

3.,손목

1)유구돌기골절

2)삼각 섬유연골판 복합체(TFCC) 손상

3)주상골골절

4)월상골 무혈성괴사

5)방아쇠수지 또는 건초염

6)건염

7)손목 충돌증후군

 

4.몸통-척추

1)늑골골절

2)등근육 염좌 또는 미세손상

3)척추 후관절 병변

4)디스크

5)천장관절 염좌

 

5.엉치관절(고관절)

1)대전자 점액낭염

2)장요근염 또는 장요근 점액낭염

3)비구 관절순 손상

4)탄발음성 고관절

5)장경인대염/ 장경인대증후군

6)이상근증후군

 

6.무릎

1)반월상연골 손상

2)슬개영골연화

3)슬개건염

4)내측 또는 외측 측부인대, 전방 또는 후방십자인대 손상

 

7.정강이, 발목, 족부

1)내측 경골 스트레스 증후군

2)내측비복근, 가자미근 손상

3)족저근막염

4)아킬레스건염

5)삼각인대손상

6)지간신경종

7)종골의 골변형(Haglund 변형)

8)후경골건염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