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깨통증:회전근개 부분파열(손상)의 진단과 치료원칙 QA
Q회전근개 부분파열이란 어떤 상태를 의미하나요?
A회전근개 부분파열이란 회전근개 심줄 전층이 아닌 심줄 전층중 일부층이 파열된 경우를 말합니다.
Q회전근개 부분파열은 수술에 의해 치료를 해야 하나요?
A
1.회전근개 부분파열의 원인에는 충돌증후군과 같이 반복적으로 어깨를 높이 들어올리는 동작(overhead activity)에 의해 회전근개 건(힘줄) 부위가 오구-견봉궁과 마찰을 일으켜 누적된 손상에 의해 진행되는 경우, 노화에 의한 퇴행성 심줄손상, 급성손상과 같은 다양한 원인이 있습니다.
2.그러나, 회전근개 부분손상이 있는 경우 모든 환자에서 임상증상이 나타나지는 않습니다.
3.임상증상이 있는 환자의 경우도 비수술적인 치료 만으로도 증상이 호전되어 일상생활을 문제 없이 수행해 나갈 수 있습니다.
4.수술적 치료는 비수술적인 치료에 반응을 보이지 않는 일부 환자에서만 고려하게 됩니다.Q회전근개 부분파열의 비수술적 치료에는 어떠한 치료방법이 있나요?
A
1.회전근개 부분파열로 인해 경도의 통증과 운동범위의 감소, 경도의 관절기능의 감소만 있는 경우는 경구 소염제투여, 재활치료 만으로도 증상의 호전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2.중등도 이상의 통증, 현저한 운동범위의 감소, 현저한 관절기능의 감소가 있는 환자, 과거에 회전근개 부분손상이 있었던 환자가 파열 정도가 진행되어 증상이 악화된 경우, 재발의 빈도가 너무 잦아 일상생활을 수행하는데 현저한 지장이 있는 경우는 대증적인 치료보다는 DNA주사,체외충격파치료, 프롤로치료와 같이 건조직을 재생시키는 적극적인 치료가 바람직합니다.Q회전근개 부분파열의 수술적 치료에는 어떠한 방법이 있나요?
A
1.보존적 치료가 실패하여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게 되는 경우에는 회전근개 건의 두께에서 손상조직이 차지하는 비율이 수술방법의 결정에 중요한 요소입니다.
2.일반적으로 손상건 조직이 전체의 50% 이하인 경우는 손상건의 손상 부위를 다듬어주는 수술만으로도 좋은 결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3.손상건 조직이 전체의 50% 이상인 경우는 손상건 부위를 봉합해주는 수술방법이 더 좋은 결과를 보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4.회전근개 부분손상에서의 건봉합술은 전층파열에서의 봉합수술 보다 우수한 결과를 보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5.따라서, 50% 이상 회전근개 건 파열이 진행된 경우는 전층파열로 진행되기 전에 봉합술을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Q회전근개 파열의 정도를 파악하는 방법에는 어떠한 방법들이 있나요?
A
1.가장 손쉬우면서도 보편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검사방법은 초음파검사입니다.초음파검사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습니다.
1)MRI는 관절 전반의 상태를 파악하는데는 용이하나, 병변 부위의 정확한 상태 파악을 위해서는 강조영상 또는 조영제를 관절내로 주입하여 촬영하는 MRA를 통해 정확한 진단이 가능한 반면, 초음파검사는 병변 부위로 직접 초음파가 전달되어 반사되는 영상을 통해 진단을 하므로 국소 병변의 보다 정확한 진단이 가능합니다.
2).MRI 또는 MRA에 비해 검사비용이 월등히 저렴합니다.
3).외래에서 진료와 동시에 검사가 이루어지므로 검사시간이 매우 짧습니다.
4).
2.MRI검사는 어깨관절의 전반적인 상태의 파악에 장점이 있는 검사방법입니다.
3.수술적치료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환자의 경우에는 관절내시경을 통해 파열정도를 검사하는 것이 보편적인 검사방법입니다
'질환별상담QA사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팔꿈치통증 테니스엘보 골프엘보 내/외측불안정성 원인과 치료 FAQ (0) | 2016.05.17 |
---|---|
어깨통증의 대표적 질환 및 치료에는 어떠한 방법들이 있나요? [QA] (0) | 2016.05.13 |
허리통증 다리저림 척추 전방전위증 비수술적 주사치료 목동역 압구정역 청담역 선릉역 당산역 영등포구청역 정형외과 통증의학과 (0) | 2016.05.10 |
등산 또는 무리한 운동 후 통증이 생기는데,체외충격파 또는 자기장치료를 해도 되는지요?[Q] (0) | 2016.04.29 |
발목통증 불안정 비대칭증후군 주사로 통증과 자세교정 동시 치료하는 삼성의원 (외상,골절/통증)영등포 목동 정형외과 통증의학과[QA] (0) | 2015.08.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