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산동 정형외과 삼성의원 정형,통증치료
봄의 내음과 더불어 활동량이 많아지는데요,등산이나 급하게 뛰다가 발목을 접지르는 경우가 흔합니다.
따라서 예기치 않게 발목을 삐었을때 진단과 치료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발목 부상의 대부분은 발목을 삐어 인대가 붓고 통증이 생기는 염좌 입니다.
-가벼운 염좌라도 파스나 찜질에만 의존하면 만성 불안전 염좌로 발전 합나다.
-시간이 지나면서 통증이 사라지고 어느 정도 거동할 수 있게 돼 제대로 치료 받지 않고 넘기게 됩니다. 그러나 겉으로는 다 나은 것 같아도 속으로는 손상이 지속 되고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진단
-스트레스 엑스레이 촬영을 통하여 인대손상의 확인과 손상 정도를 파악하게 됩니다. 다만 명확하게 하기 위해서는 근골격계 초음파검사나 MRI 촬영을 시행 할 수도 있습니다.
-발목 염좌는 인대 손상 정도에 따라 3단계로 구분 합니다.
1단계는 파열 없이 붓고 주변 조직에 염증이 생긴 상태 입니다.
2단계는 인대가 부분 파열된 상태 입니다.
3단계는 인대가 완전히 파열되어 심각한 상태 입니다.
2-3단계는 심한 부종과 통증이 나타나기 때문에 응급처치와 병원 치료가 비교적 빨리 이루어져야 합니다.
치료
-치료 방법은 초기에는 냉찜질을 통해서 발목의 붓기를 가라 앉히고 인대에 안정을 주는 부목 고정술을 시행합니다.
부목 고정술은 통상적으로 증상 및 상태에 따라 다소 상이하나 7-10일 시행 합니다.
1.급성의 경우 소염제투여, 물리치료, 부목 고정술로 증상을 완화시킵니다.
2.인대내의 신경손상이 생긴 경우 위치감각과 평형감각에 문제가 발생하므로 wobble board나 rocker board를 이용한 disc training을 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3.최초의 인대손상의 치유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발목불안정이 생긴 경우는 발뒤꿈치의 바깥쪽에 heel wedge를 받쳐주거나, 발목보호대, 앞 굽이 높은 신발의 착용이 도움이 됩니다.또한 프롤로(인대강화)치료를 시행 합니다.
4.발목 불안정의 경우 원활한 관절 운동을 위한 운동,비골건 강화운동,발목 관절의 안정화 운동이 필요 합니다.
5.수개월 이상의 발목불안정이 지속되어 인대변성, 충돌증후군의 증상을 보이는 경우는 3-5회의 체외충격파치료를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6.드물게 ligament tightening procedure나 건 이식술 같은 수술적 치료가 필요 할 수도 있습니다.
'발목,발 아플 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발 뒤꿈치 발바닥 통증 족저근막염의 원인과 치료 영등포구청역 당산역 정형외과 통증의학과 (0) | 2016.04.22 |
---|---|
무리한 운동법이 부르는 ‘아킬레스 건염’ 증상과 치료 당산동 양평동 영등포구청 정형외과 통증의학과 (0) | 2015.07.24 |
엄지 발가락 통증 무지외반증 (Hallux valgus)(QA) 영등포구청사거리 삼성의원 족부 클리닉 (0) | 2015.06.10 |
족저근막염 plantar fasciitis (영등포구청역 당산동 당산 정형외과)치료와 예방! (0) | 2015.05.20 |
영등포 정형외과 삐끗한 발목…방치했다간,, 삼성의원 외상 골절 통증 클리닉 진료과목 정형외과 통증의학과 (0) | 2015.05.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