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목 골절 원인과 치료

 

손목은 두 개의 뼈(요골, 척골)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골절은 요골의 손목 부분에 흔히 발생하며 심한 경우 골절 부위뼈 분쇄가 심하게 발생하여 팔의 모양에 변형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골절의 상태에 따라 비수술적치료(깁스) 나 수술적 치료(나사,핀고정술)를 시행 하게 됩니다.

 

1.골절원인

1)소아 전완부 골절은 가장 많이 발생되는 골절입니다. 주로 손을 뻗은 채로 넘어진 경우에 발생 하는데, 남아는 12-13세 에 ,여아는 11-12세에 호발 합니다.

 

2)외력이 적게 작용한 어린 나이 에서는 불완전 골절인 융기(隆起,Torus) 골절이나,약목 골절(弱木 骨折, green srick fracrure)이 일어날 수 있으며 , 좀 더 나이든 아이에서 심한 외력이 가해진 경우는 대체로 수장(volar) 각 형성 혹은 골절 편의 후방 완전 전위가 일어나 총겸 (bayonet) 변형 이 일어 납니다.

 

3)손목골절은 골다공증 등으로 인해 뼈가 약해진 65세 이상의 폐경기 이후 여성에게 많이 발생합니다. 손을 짚고 넘어지는 경우 대개 체중의 2~10배 정도의 힘이 손목에 가해지기 때문에 골절이 잘 발생합니다.

 

4)요즘에는 인라인 스케이트나 스노우 보드, 스키를 타는 젊은 사람에게도 흔히 발생하는데 이런 경우 넘어질 때 손목에 가해지는 힘이 더욱 크기 때문에 골절 정도가 더욱 심한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2.골절이 되면 다음과 같은 증상이 발생합니다.
1. 외상 이후에 손목이 심하게 붓거나 아픕니다.
2.
골절 부위의 출혈이 퍼지면서 피부에 멍이 들 수 있습니다.
3.
골절 부위가 외관상 변형이 있을 수 있습니다.
4.
신경손상을 동반하는 경우 손끝 저림이나 감각이상, 손가락 운동장애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3.진단

단순한 X-ray 검사로도 쉽게 진단되며 관절 침범이 심한 경우 컴퓨터 단층 촬영(CT)이 필요 할 수도 있습니다.

 

4.골절치료

보통 외상 이후 골절부위를 손으로 맞추고(정복술) 부목고정을 유지합니다. 추후 골절 상태를 파악하여 석고고정을 하거나 수술을 결정하게 됩니다.

 
1)치료는 일반적으로 불완전 골절 이나,10도 이상 각 형성된 완전 골절의 경우는 도수정복 후 장상지 석고 고정을 4-6주 시행 합니다.

 

2)골절 이 불안정하여 정복 소실의 가능성 이 높거나, 부종이 너무 심해 신경파 혈행 장애를 일으킬 가능성이 있을 때 , 주관절 주위의 골절이 통반되어 주관절 부동으로 구획 증후군의 가능성이 있을 때 도수정복 및 경피적 핀 고정술의 적응증이 될 수 있습니다.

 

 

 

3)개방성 골절 이나, 도수정복이 되지 않을 경우는 관혈적 정복술을 시행 합니다.

 

관혈적정복 시,조기 에 핀 제거술 및 운동을 시작한 경우, 높은 곳에서 추락하는 경우와 같이 강한 외력에는 전완부 근위부 골절이 동반되거나, 상완골 원위부 골절 이 동반되어 불안정한 주관절 부동(浮動, Floating elbow) 이 발생 할 수 있고,

구획증후군 위험도 높아 집니다.

 

초기 전위가 30도 이 상인 경우는 불안정하고 재전위(再轉位, redisplacement) 의 위험성이 20-60%이며 ,정복이 불완전하거나 , 석고 붕 대 고정이 정확하게 3 접점 (3 point contact) 고정이 되지 않아 고정이 부적절한 경우 재 전위가 잘 일어 납니다.

따라서 추가 변형 혹은 불유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를 요 합니다.

 


1.
보존적 치료 : 석고고정
1)
심한 골절이 아니면 4-5주 정도 석고고정을 하여 뼈를 붙이게 됩니다.

 

-골절 상태에 따라 정복술( 손으로 골절부위를 맞추고)시행 후 부목고정술을 시행합니다.

 

-통상 외상 후 3일 까지는 부종이 있어 처방약과 통증 얼음 찜질을 해주시면 됩니다.

 

-다음날 꼭 내원하여 부종 및 신경 눌림 상태 등 기타 을 확인 합니다.

 

-통상 부종이 빠지기 전 까지 7일 정도 반 깁스 을 하고 부종이 빠지면 통 깁스를 하게 됩니다.

 

-골절 유형의 상태에 따라 2-3일 또는 일주일에 한번씩 내원하여 X-ray촬영 하여 골절 상태를 확인 합니다.


2)
수술을 해야 하는 경우도 수술 전 통증조절과 붓기를 빼기 위해 석고부목으로   골절부위를 고정하게 됩니다.(수술은 부종이 빠지고 난 후 통상 시행 합니다)


3)
석고부목을 제거한 후(통상4) 물리치료 및 운동치료를 시행 하면서 약 3주 동안은 환자 본인이 탈 부착을 할 수 있는 보조기를 착용하게 됩니다(골절의 중증도, 골다공증 여부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물리,재활치료는 4주 깁스 치료 할 경우 통상 8주 이상 의 시간이 소요 됩니다.)

 


2.
수술적 치료
외상 당시 골절의 정도가 심한 경우 또는 석고 고정으로 치료하던 중 다시 골절 부위에 문제가 생긴 경우 수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경과 합병증

치료 기간 동안에는 지속적으로 손가락 운동을 시행하도록 하여 장기간의 석고 고정 치료로 인하여 손가락이 굳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석고 고정 치료나 수술적 치료가 끝난 후에도 지속적인 관절 운동과 손가락 운동을 시행하는 것이 중요하며, 골다공증과 연관된 중년 이상의 여성인 경우 이에 대한 검사와 치료를 병행해야만 추후 다른 부위의 골절이 발생할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