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목통증 건초염 힘줄염 염좌 손목 과긴장 통증 증후군 프롤로치료  

 

 

힘줄염= 활액막염, 건초염 

 

1)(힘줄)을 싸고 있는 활액막(synovial sheath) 자체 또는 활액막 내부 공간이 염증성 변화로 충혈되고 부종이 발생하며, 염증 세포가 침윤되는 경우를 건막염이라 하고, 건의 활액막염 이라고도 합니다.

 

2) 관절 운동 시 염증이 생긴 힘줄 부위에 통증이 있으며, 종창(부종)이 있고, 정도에 따라 휴식 시에도 통증이 있을 수 있습니다. 또한 근력이 약화될 수 있고. 운동을 많이 할수록 통증과 종창이 증가될 수 있습니다.

 

3) 환자의 작업 정도와 운동의 과거력을 확인하고, 염증이 생긴 부위의 과다 사용 경험 및 과다 부하 여부를 확인 합니다. 힘줄 부위를 누룰 때 통증을 느끼고 힘줄 주위 관절을 움직일 때 통증과 운동 범위의 제한을 호소할 수 있습니다.

 

 

손목이 아파여,‘반복 사용 긴장성 손상,과사용 증후군’-

 

1)마우스,컴퓨터 자판등 동작을 계속 반복하는 운동에 의해 잘 생기는 질환, ‘반복 사용 긴장성 손상 증후군(Repetitive Strain Injury: RSI)’으로 고통을 호소하는 환자들이 과거 10년간 10배나 증가했다고 합니다.

 

2)반복 사용 긴장성 손상 증후군’은 한 동작을 반복하는 물리적인 운동에 의해 잘 생기는 질환으로 최근에는 컴퓨터 게임 마니아를 비롯한 컴퓨터 작업이 많은 사람에게서 많이 생기고 있습니다.

 

과사용에 의한 손상

드꾀르벵 건초염,척수근신건염,척수근신건아탈구,교차증후군,후방손목증후군,손목터널증후군 초음파 유도하 프롤로테라피 치료

 

 

 1.주 발생 대상

1)손목을 많이 사용하는 스포츠나 운동선수

2)아기를 돌 보는 주부 및 주방에서 일하시는 분

3)손이나 손목을 많이 사용하는 근로자

 

 

 

 

 

 

 

 2., 비수술적 치료

1)부목 고정술,물리치료,약물요법 [25%~72% 치료효과]

2)프롤로 테라피 주사 치료1과 병행 시[62%~100% 치료효과]

 

 

 

 

과사용 증후군(Overuse Syndromes of the Wrist)
1)
과사용 증후군은 긴장(tension)이나 전단력(shear load) 등의 미세한 외상이 반복적으로 가해져 정상적인 조직에 손상을 주게 되어 결국 건염, 아탈구, 피로골절, 압박성 신경병 등의 만성적인 병변을 일으키며 임상적으로는 손목 부위에 압력이나 하중이 가해지는 동작을 취할 시 쉽게 통증이 유발되거나 악화되게 됩니다.

 

2)빠른 속도로 타이핑을 하거나 오랜 시간 동안 마우스를 사용하는 사람, 피아노나 바이올린 연주자, 트럭 운전자와 같이 반복적으로 한 작업을 계속하는 사람들의 신경, 근육 등에 손상이 생겨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드꿰뱅,교차점 증후군

 

1)손목과 손의 건 장애는 많은 종목에서 흔히 발생합니다. 많은 건 장애가 있지만 그 중에서 두가지 장애가 유명합니다. 드꿰뱅 증후군과 교차점 증후군입니다. 이들 장애는 모두 엄지손가락을 조절하는 건을 둘러싼 터널처럼 생긴 막에 염증이 생겼을 때 나타납니다.

 

2)이들 증후군은 장기간 손을 꽉 쥐고 움직이는 동작을 하는 것이 원인이 되어 반복적인 피로가 누적되어 나타납니다. 테니스, 조정, 스키, 역도 등의 종목에서 이런 부상이 흔히 나타납니다.

 

3)드꿰뱅 증후군이 생기면 건막에 피로가 쌓이며, 교차점 증후군이 생기면 건초가 두 개의 엄지손가락 근육과 마찰이 일어나면서 자극을 받게 됩니다. 두 경우 모두 건초에 염증과 부기를 발생시키고 이어서 건의 움직임이 차츰 감소됩니다.

 

4)통증을 느끼면서 부상 부위가 빨갛게 되며, 통증은 엄지손가락이나 전완 안쪽으로 퍼져 나가기도 합니다. 이들 증후군이 일으키는 증상은 아주 비슷하지만 통증이 각기 다른 부위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종류를 구분할 수 있습니다.

 

5)드꿰뱅건초염의 경우에는 엄지손가락 기저부 아래쪽 손목 옆 부분에 통증이 생기면서 말랑 말랑해지며, 교차점증후군의 경우에는 전완 상단부의 손목관절 뒷 부분에 통증이 생깁니다.

 

6)이들 장애는 자가치료도 충분히 가능하지만 기간이 많이 소요됩니다. 문제를 방치한 채 경기에 복귀하게 될 경우 다시 부상을 입거나 장기간 통증에 시달릴 수도 잇습니다. 진통제에 의존하면 통증은 사라질 수 잇지만 건파열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대개 4-6주 내에 치료가 되지만 수술을 한 경우 6개월 이상의 재활치료를 한 후 경기에 복귀해야 합니다.

 

프롤로치료

1)프롤로치료의 사전적 의미는 새로운 세포를 재생하도록 유도하는 치료라는 의미입니다. 그러나 실제로 시행되고 있는 분야를 바탕으로 좁은 의미에서 말한다면 조직의 치유가 불완전한 경우의 만성 통증, 관절의 이완, 불안정성, 퇴행성관절염에서 소량의 자극성 물질을 치유하고자 하는 목표 지점에 주사하여 초기 염증 반응을 유도하고 염증 매개체들이 생기게 유도하고, 이를 통해 이차적으로 치유에 도움이 되는 성장 인자들의 분비를 자극하여 궁극적으로 콜라겐 조직의 비후 및 강화를 얻고, 관절 불안정의 감소와 생역학적 개선을 통해 통증을 감소시키는 치료 방법이라 할 수 있습니다.

 

2)미국정형외과학회의 발표에 의하면 미국에서 1년에 약 49만명이 프롤로치료를 받고 있으며, 이중 70%가 요통 환자라고 합니다. Meyer는 요추부에 대한 4년 추시 연구를 통해, Dorman은 흉추부, 경추부에서 프롤로치료 후 유의한 통증 감소가 있었다고 발표하였습니다.

 

3)프롤로치료의 치료 기전은 국소적으로 자극을 주는 약제를 주사하여 국소적인 급성 염증을 발생시키고 여러 mediator들이 주사 부위로 모이게 되어 fibroblastic proliferation자극하여 콜라겐 생성을 통해 인대, 건 부착부의 치유를 유도하는 것이 기전으로 제시되고 있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