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목 통증 저림 감각저하 수근관(손목터널)증후군 원인과 치료 

 

- 수근관증후군이란 정중신경이 손목의 횡수근인대와 뼈 사이에서 압박 받아 정중신경 지배영역의 감각이상과 정중신경의 지배를 받는 무지구근의 약화를 일으키는 임상상태를 말합니다.

 

 

-쉴 틈 없는 무리한 집안일로 흔하게 발생하던 수근관 증후군이 최근 장시간의 컴퓨터나 스마트폰 사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경우도 적지 않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손가락의 운동 기능을 담당하는 정중 신경이 손목굴에서 만성적으로 압박되어 발생하는 수근관 증후군(손목 터널 증후군) 1,000명당 1~2명에서 발병하는 흔한 질병으로 남자보다는 여자, 특히 중년기 여성에게서 자주 발생 합니다.

 

 

-원인:수근관 증후군은 골절 후 관절염, 류머티즘 관절염, 골관절 기형, 건염, 갑상선 기능 저하증, 당뇨병, 말단 비대증, 종양 등을 원인으로 들 수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 환자에게서는 정확한 원인을 모르며 과도한 반복적인 손 운동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또한, 임산부에게서는 일시적으로 나타났다가 출산 후 호전될 수가 있는데 이는 임신과 관련된 부종인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는 엄지손가락과 둘째, 셋째, 그리고 넷째 손가락 반의 감각과 엄지손가락의 운동 기능에 영향이 미쳐 손이 저린 증상과 함께 통증도 동반되며 운전 중에 손 저림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엄지손가락의 운동 기능 장애로 물건을 자주 떨어뜨리거나 젓가락질을 하기도 어려우며 밤에 증상이 악화되는 경향이 있어 밤잠을 설치는 경우도 흔합니다.

 

-수근관 증후군의 원인이나 다른 동반되는 질환을 구별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단순 방사선이나 체열,신경 근전도 검사를 시행하게 됩니다.

 

또한, 손목 굴곡 검사, 신경 타진 검사, 정중 신경 압박 검사, 2점 식별 검사, 엄지손가락 대립 검사 등을 이용 합니다.

 

-대표적인 수근관 증후군을 알아보는 손목 굴곡 검사는 손목을 굽히고 양쪽 손등을 마주 보고 맞대고 누를 때 1분 안에 저린 증상이 나타나는지 볼 수 있으며 신경 타진 검사는 정중 신경부위를 기구로 두드렸을 때 저린 느낌이 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치료:수근관 증후군의 치료는 크게는 비수술적 방법과 수술적 방법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보존적 방법은 증상이 심하지 않고 정중 신경의 손상이 심하지 않을 때 시도 합니다.

 

휴식을 취하며 손을 쉬어주거나 부목을 통해 고정하고 약물 복용이나 주사 요법 등을 이용할 수 있지만, 손상이 심하거나 보존적 방법으로 호전되지 않으면 수술적인 치료를 시행 합니다.

 

1.정중신경을 압박할수 있는 손목의 지나친 사용을 제한합니다.

2.수근관의 부종감소와 통증의 완화를 위해 소염제투여와 재활치료를 합니다.

3.상기의 치료에 반응이 없는 경우 제한적으로 국소소염제 주사치료를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4.다른 보존적치료에 전혀 반응을 보이지 않는 심한 증상의 경우에는 3-5회의 체외충격파치료(또는 프롤로테라피)를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5.비수술적치료에 실패한 심한 환자의 경우 수근관 내의 압박을 수술적으로 해소해 주는 치료를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