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목통증
과사용에 의한 손상
드꾀르벵 건초염,척수근신건염,척수근신건아탈구,교차증후군,후방손목증후군,손목터널증후군 초음파 유도하 프롤로테라피 치료
1.주 발생 대상
1)손목을 많이 사용하는 스포츠나 운동선수 2)아기를 돌 보는 주부 및 주방에서 일하시는 분 3)손이나 손목을 많이 사용하는 근로자 |
2.주, 비수술적 치료
1)부목 고정술,물리치료,약물요법 [25%~72% 치료효과] 2)프롤로 테라피 주사 치료1과 병행 시[62%~100% 치료효과] |
과사용 증후군(Overuse Syndromes of the Wrist)
-과사용 증후군은 긴장(tension)이나 전단력(shear load) 등의 미세한 외상이 반복적으로 가해져 정상적인 조직에 손상을 주게 되어 결국 건염, 아탈구, 피로골절, 압박성 신경병 등의 만성적인 병변을 일으키며 임상적으로는 손목 부위에 압력이나 하중이 가해지는 동작을 취할 시 쉽게 통증이 유발되거나 악화되게 됩니다.
3.현대인 들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통증 2가지
1)드 꾀르벵 병(De Quervain’s Disease)협착성 건막염
드꾀르벵건염이란 손목의 요측에서 요골과 배측 수근인대에의해 형성되는 골섬유 관의제1 신전 구획을 통과하는 장무지외전 건과 장무지 외전건의 협착성 건막염 입니다.
증상
손목의 엄지 손가락 쪽 부위에 극심한 통증을 느끼고 붓는 현상(부종)이 일어나며,통증 부위에 종기가 생기기도 합니다.
손목과 엄지 손가락을 움직이기 힘들며,엄지와 검지 손가락의 손 등쪽이 저리기도 합니다.
치료
(1)초기 단계인 경우는 보존적 치료를 시도하며 안정, 약물,물리치료 또는 무지 고수상 부목(thumb spica spint) 고정으로도 25%~72%의 치료 효과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2)이러한 보존적 치료에도 효과가 없는 경우 제 1 신전 구획에 프롤로테라피 주사 을 해 볼 수 있는데 시술자 마다 다소 상이 할 수 있지만 62~100%의 성공율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3)수술적 치료는 증상을 나타내는 환자분의 약 50~54%에서는 제 1구획내의 단무지 신전건이 중격에 의해 독립된 구획이 형성되어 있거나 다발성 건으로 구성되어 있는 해부학적 변이가 있는 경우가 있어, 제 1 신전대를 절개하고 단무지 신전건 구획을 형성하는 중격을 제거하는 것이 중요하고 할 수 있습니다.
-수술 부위 통증이나 이상 감각 등의 합병증을 줄이기 위해서는 수술시 제 1 구획을 통과하는 요골 신경의 표재신경 가지가 손상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합니다.
2)손목 터널 증후군(Carpal Tunnel Syndrome)
손목터널 증후군이란 수근관 이 좁아지거나 내부 압력이 증가 하면서 그 위를 지나는 정중신경이 손상되어 신경의 지배영역인 손바닥과 손가락에 이상이 발생하는 질환 입니다.
원인
운동선수에게는 손목 터널 증후군이 그리 흔하게 발생하는 것은 아니며 30~60대 여성에게 빈번하게 발생하며,병리 기전의 대부분은 반복적인 수지의 굴곡으로 인한 굴곡 건막염에 의한 이차적 병변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증상
손가락과 손바닥부위가 저리고 통증이 느껴지며,손가락이 찌릿하거나 확끈하고,
통증이 어깨나 목까지 번지기도 합니다.
또한 물건을 잡거나 주먹을 쥐는 힘이 약해지기도 합니다.
치료
근전도 검사는 대부분 정상소견이어서 휴식, 부목고정 및 약물요법 등의 보존적 요법으로 충분히 치료될 수 있습니다.증상이 심할 경우는 프롤로테라피 주사 치료로 가능하며, 횡 수근 인대 절개술 등의 수술적 치료를 필요로 하는 경우는 매우 드뭅니다.
'통증·인대 주사치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목통증:경추 후관절증후군[양평동 목동역 당산동 진료과목 정형외과”삼성의원”] (0) | 2014.11.04 |
---|---|
골반,엉치통증 프롤로테라피 골반교정 당산동 합정동 진료과목 정형외과 통증의학과 삼성의원 (0) | 2014.11.04 |
발목통증 불안정증 치료 당산동 양평동 진료과목 정형외과 통증의학과 삼성의원 (0) | 2014.11.04 |
자세 불균형에 의한 근막 통증치료[영등포 구청역 진료과목 정형외과 통증의학과]삼성의원 (0) | 2014.11.04 |
무릎통증:퇴행성관절염 치료 삼성의원 통증 클리닉 (0) | 2014.1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