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상생활에서 인대손상이 되는 흔한 원인은 넘어질 때 손을 집는 것입니다.

또한 다빈도 손목통증 원인은 직업적 특성을 가진 요리사,가정주부,컴퓨터 관련 종사들에게는 흔한 증상입니다.

 

2)이는 손목을 반복적 과사용으로 인하여 인대손상,힘줄손상,근육손상으로 손목과 전완부의 통증을 일으키는 임상 상태를 말합니다.

 

 

3) 인대는 파열된다 하더라도 손상된 부분이 그 자리에 있기 때문에 관절을 적당한 위치로 고정만 해주어도 치료가 됩니다. 흔히 말하는 기브스(부목고정) 치료로 회복이 되는 것입니다.

 

물론 최근에는 고정 기간을 최소로 하고 보조기를 사용하는조기 가동치료를 하지만, 기본적으로는고정이 인대손상에 가장 중요한 치료입니다.


-증상:
1)손상된 인대부위에 통증과 부종이 생기고, 때에 따라서는 멍이 들게 됩니다.

2)
손상의 급성기가 지나서도 통증이 유지되는 경우는 손목관절 자체가 불안정해져서 입니다
.

3)
손상된 인대조직이 정상적으로 치유되지 않으면 관절을 구성하는 개개의 뼈가 손목을 움직일 때 불안정한 움직임을 보이게 되고, 이로 인해 구조물이 마찰되는 소리나 느낌이 들게 됩니다
.

4)
손상된 인대가 정상적으로 치유되지 않고 오랜 시간이 경과되면, 손목관절의 골관절염이 생기게 됩니다
.

-
치료:


1)
손상 정도가 심하지 않은 경우에는 3-6주간 소염제투여, 재활치료, 단기간의 부목고정 또는 보호대 착용으로 손상된 인대가 자연치유 되도록 유도합니다.

2)3~6
주 이상 심한 통증이 지속되고, 인대의 불완전치유에 의해 손목관절이 불안정하며, 손목의 운동량에 비례하여 부종이 반복해서 생기는 경우에는 3-5회의 체외충격파치료를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

3)
초음파,MRI상 인대에 대한 심한 인대 손상이 확인되는 경우, 인대손상의 진단이 지연된 경우, 인대손상에 의해 손목관절의 불안정이 발생한 경우에는 인대 복원술 및 경피적 금속핀 내고정술, 인대재건술, 관절 부분 유합술 등을 고려해 볼수 있습니다.

 

 

 

 

 

손목 골절 원인과 치료

 

손목은 두 개의 뼈(요골, 척골)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골절은 요골의 손목 부분에 흔히 발생하며 심한 경우 골절 부위뼈 분쇄가 심하게 발생하여 팔의 모양에 변형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골절의 상태에 따라 비수술적치료(깁스) 나 수술적 치료(나사,핀고정술)를 시행 하게 됩니다.

 

1.골절원인

1)소아 전완부 골절은 가장 많이 발생되는 골절입니다. 주로 손을 뻗은 채로 넘어진 경우에 발생 하는데, 남아는 12-13세 에 ,여아는 11-12세에 호발 합니다.

 

2)외력이 적게 작용한 어린 나이 에서는 불완전 골절인 융기(隆起,Torus) 골절이나,약목 골절(弱木 骨折, green srick fracrure)이 일어날 수 있으며 , 좀 더 나이든 아이에서 심한 외력이 가해진 경우는 대체로 수장(volar) 각 형성 혹은 골절 편의 후방 완전 전위가 일어나 총겸 (bayonet) 변형 이 일어 납니다.

 

3)손목골절은 골다공증 등으로 인해 뼈가 약해진 65세 이상의 폐경기 이후 여성에게 많이 발생합니다. 손을 짚고 넘어지는 경우 대개 체중의 2~10배 정도의 힘이 손목에 가해지기 때문에 골절이 잘 발생합니다.

 

4)요즘에는 인라인 스케이트나 스노우 보드, 스키를 타는 젊은 사람에게도 흔히 발생하는데 이런 경우 넘어질 때 손목에 가해지는 힘이 더욱 크기 때문에 골절 정도가 더욱 심한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2.골절이 되면 다음과 같은 증상이 발생합니다.
1. 외상 이후에 손목이 심하게 붓거나 아픕니다.
2.
골절 부위의 출혈이 퍼지면서 피부에 멍이 들 수 있습니다.
3.
골절 부위가 외관상 변형이 있을 수 있습니다.
4.
신경손상을 동반하는 경우 손끝 저림이나 감각이상, 손가락 운동장애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3.진단

단순한 X-ray 검사로도 쉽게 진단되며 관절 침범이 심한 경우 컴퓨터 단층 촬영(CT)이 필요 할 수도 있습니다.

 

4.골절치료

보통 외상 이후 골절부위를 손으로 맞추고(정복술) 부목고정을 유지합니다. 추후 골절 상태를 파악하여 석고고정을 하거나 수술을 결정하게 됩니다.

 
1)치료는 일반적으로 불완전 골절 이나,10도 이상 각 형성된 완전 골절의 경우는 도수정복 후 장상지 석고 고정을 4-6주 시행 합니다.

 

2)골절 이 불안정하여 정복 소실의 가능성 이 높거나, 부종이 너무 심해 신경파 혈행 장애를 일으킬 가능성이 있을 때 , 주관절 주위의 골절이 통반되어 주관절 부동으로 구획 증후군의 가능성이 있을 때 도수정복 및 경피적 핀 고정술의 적응증이 될 수 있습니다.

 

 

 

3)개방성 골절 이나, 도수정복이 되지 않을 경우는 관혈적 정복술을 시행 합니다.

 

관혈적정복 시,조기 에 핀 제거술 및 운동을 시작한 경우, 높은 곳에서 추락하는 경우와 같이 강한 외력에는 전완부 근위부 골절이 동반되거나, 상완골 원위부 골절 이 동반되어 불안정한 주관절 부동(浮動, Floating elbow) 이 발생 할 수 있고,

구획증후군 위험도 높아 집니다.

 

초기 전위가 30도 이 상인 경우는 불안정하고 재전위(再轉位, redisplacement) 의 위험성이 20-60%이며 ,정복이 불완전하거나 , 석고 붕 대 고정이 정확하게 3 접점 (3 point contact) 고정이 되지 않아 고정이 부적절한 경우 재 전위가 잘 일어 납니다.

따라서 추가 변형 혹은 불유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를 요 합니다.

 


1.
보존적 치료 : 석고고정
1)
심한 골절이 아니면 4-5주 정도 석고고정을 하여 뼈를 붙이게 됩니다.

 

-골절 상태에 따라 정복술( 손으로 골절부위를 맞추고)시행 후 부목고정술을 시행합니다.

 

-통상 외상 후 3일 까지는 부종이 있어 처방약과 통증 얼음 찜질을 해주시면 됩니다.

 

-다음날 꼭 내원하여 부종 및 신경 눌림 상태 등 기타 을 확인 합니다.

 

-통상 부종이 빠지기 전 까지 7일 정도 반 깁스 을 하고 부종이 빠지면 통 깁스를 하게 됩니다.

 

-골절 유형의 상태에 따라 2-3일 또는 일주일에 한번씩 내원하여 X-ray촬영 하여 골절 상태를 확인 합니다.


2)
수술을 해야 하는 경우도 수술 전 통증조절과 붓기를 빼기 위해 석고부목으로   골절부위를 고정하게 됩니다.(수술은 부종이 빠지고 난 후 통상 시행 합니다)


3)
석고부목을 제거한 후(통상4) 물리치료 및 운동치료를 시행 하면서 약 3주 동안은 환자 본인이 탈 부착을 할 수 있는 보조기를 착용하게 됩니다(골절의 중증도, 골다공증 여부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물리,재활치료는 4주 깁스 치료 할 경우 통상 8주 이상 의 시간이 소요 됩니다.)

 


2.
수술적 치료
외상 당시 골절의 정도가 심한 경우 또는 석고 고정으로 치료하던 중 다시 골절 부위에 문제가 생긴 경우 수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경과 합병증

치료 기간 동안에는 지속적으로 손가락 운동을 시행하도록 하여 장기간의 석고 고정 치료로 인하여 손가락이 굳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석고 고정 치료나 수술적 치료가 끝난 후에도 지속적인 관절 운동과 손가락 운동을 시행하는 것이 중요하며, 골다공증과 연관된 중년 이상의 여성인 경우 이에 대한 검사와 치료를 병행해야만 추후 다른 부위의 골절이 발생할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손목통증 건초염 힘줄염 염좌 손목 과긴장 통증 증후군 프롤로치료  

 

 

힘줄염= 활액막염, 건초염 

 

1)(힘줄)을 싸고 있는 활액막(synovial sheath) 자체 또는 활액막 내부 공간이 염증성 변화로 충혈되고 부종이 발생하며, 염증 세포가 침윤되는 경우를 건막염이라 하고, 건의 활액막염 이라고도 합니다.

 

2) 관절 운동 시 염증이 생긴 힘줄 부위에 통증이 있으며, 종창(부종)이 있고, 정도에 따라 휴식 시에도 통증이 있을 수 있습니다. 또한 근력이 약화될 수 있고. 운동을 많이 할수록 통증과 종창이 증가될 수 있습니다.

 

3) 환자의 작업 정도와 운동의 과거력을 확인하고, 염증이 생긴 부위의 과다 사용 경험 및 과다 부하 여부를 확인 합니다. 힘줄 부위를 누룰 때 통증을 느끼고 힘줄 주위 관절을 움직일 때 통증과 운동 범위의 제한을 호소할 수 있습니다.

 

 

손목이 아파여,‘반복 사용 긴장성 손상,과사용 증후군’-

 

1)마우스,컴퓨터 자판등 동작을 계속 반복하는 운동에 의해 잘 생기는 질환, ‘반복 사용 긴장성 손상 증후군(Repetitive Strain Injury: RSI)’으로 고통을 호소하는 환자들이 과거 10년간 10배나 증가했다고 합니다.

 

2)반복 사용 긴장성 손상 증후군’은 한 동작을 반복하는 물리적인 운동에 의해 잘 생기는 질환으로 최근에는 컴퓨터 게임 마니아를 비롯한 컴퓨터 작업이 많은 사람에게서 많이 생기고 있습니다.

 

과사용에 의한 손상

드꾀르벵 건초염,척수근신건염,척수근신건아탈구,교차증후군,후방손목증후군,손목터널증후군 초음파 유도하 프롤로테라피 치료

 

 

 1.주 발생 대상

1)손목을 많이 사용하는 스포츠나 운동선수

2)아기를 돌 보는 주부 및 주방에서 일하시는 분

3)손이나 손목을 많이 사용하는 근로자

 

 

 

 

 

 

 

 2., 비수술적 치료

1)부목 고정술,물리치료,약물요법 [25%~72% 치료효과]

2)프롤로 테라피 주사 치료1과 병행 시[62%~100% 치료효과]

 

 

 

 

과사용 증후군(Overuse Syndromes of the Wrist)
1)
과사용 증후군은 긴장(tension)이나 전단력(shear load) 등의 미세한 외상이 반복적으로 가해져 정상적인 조직에 손상을 주게 되어 결국 건염, 아탈구, 피로골절, 압박성 신경병 등의 만성적인 병변을 일으키며 임상적으로는 손목 부위에 압력이나 하중이 가해지는 동작을 취할 시 쉽게 통증이 유발되거나 악화되게 됩니다.

 

2)빠른 속도로 타이핑을 하거나 오랜 시간 동안 마우스를 사용하는 사람, 피아노나 바이올린 연주자, 트럭 운전자와 같이 반복적으로 한 작업을 계속하는 사람들의 신경, 근육 등에 손상이 생겨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드꿰뱅,교차점 증후군

 

1)손목과 손의 건 장애는 많은 종목에서 흔히 발생합니다. 많은 건 장애가 있지만 그 중에서 두가지 장애가 유명합니다. 드꿰뱅 증후군과 교차점 증후군입니다. 이들 장애는 모두 엄지손가락을 조절하는 건을 둘러싼 터널처럼 생긴 막에 염증이 생겼을 때 나타납니다.

 

2)이들 증후군은 장기간 손을 꽉 쥐고 움직이는 동작을 하는 것이 원인이 되어 반복적인 피로가 누적되어 나타납니다. 테니스, 조정, 스키, 역도 등의 종목에서 이런 부상이 흔히 나타납니다.

 

3)드꿰뱅 증후군이 생기면 건막에 피로가 쌓이며, 교차점 증후군이 생기면 건초가 두 개의 엄지손가락 근육과 마찰이 일어나면서 자극을 받게 됩니다. 두 경우 모두 건초에 염증과 부기를 발생시키고 이어서 건의 움직임이 차츰 감소됩니다.

 

4)통증을 느끼면서 부상 부위가 빨갛게 되며, 통증은 엄지손가락이나 전완 안쪽으로 퍼져 나가기도 합니다. 이들 증후군이 일으키는 증상은 아주 비슷하지만 통증이 각기 다른 부위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종류를 구분할 수 있습니다.

 

5)드꿰뱅건초염의 경우에는 엄지손가락 기저부 아래쪽 손목 옆 부분에 통증이 생기면서 말랑 말랑해지며, 교차점증후군의 경우에는 전완 상단부의 손목관절 뒷 부분에 통증이 생깁니다.

 

6)이들 장애는 자가치료도 충분히 가능하지만 기간이 많이 소요됩니다. 문제를 방치한 채 경기에 복귀하게 될 경우 다시 부상을 입거나 장기간 통증에 시달릴 수도 잇습니다. 진통제에 의존하면 통증은 사라질 수 잇지만 건파열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대개 4-6주 내에 치료가 되지만 수술을 한 경우 6개월 이상의 재활치료를 한 후 경기에 복귀해야 합니다.

 

프롤로치료

1)프롤로치료의 사전적 의미는 새로운 세포를 재생하도록 유도하는 치료라는 의미입니다. 그러나 실제로 시행되고 있는 분야를 바탕으로 좁은 의미에서 말한다면 조직의 치유가 불완전한 경우의 만성 통증, 관절의 이완, 불안정성, 퇴행성관절염에서 소량의 자극성 물질을 치유하고자 하는 목표 지점에 주사하여 초기 염증 반응을 유도하고 염증 매개체들이 생기게 유도하고, 이를 통해 이차적으로 치유에 도움이 되는 성장 인자들의 분비를 자극하여 궁극적으로 콜라겐 조직의 비후 및 강화를 얻고, 관절 불안정의 감소와 생역학적 개선을 통해 통증을 감소시키는 치료 방법이라 할 수 있습니다.

 

2)미국정형외과학회의 발표에 의하면 미국에서 1년에 약 49만명이 프롤로치료를 받고 있으며, 이중 70%가 요통 환자라고 합니다. Meyer는 요추부에 대한 4년 추시 연구를 통해, Dorman은 흉추부, 경추부에서 프롤로치료 후 유의한 통증 감소가 있었다고 발표하였습니다.

 

3)프롤로치료의 치료 기전은 국소적으로 자극을 주는 약제를 주사하여 국소적인 급성 염증을 발생시키고 여러 mediator들이 주사 부위로 모이게 되어 fibroblastic proliferation자극하여 콜라겐 생성을 통해 인대, 건 부착부의 치유를 유도하는 것이 기전으로 제시되고 있습니다.

 

 

 

 

 

 

손목에 물 혹처럼 만져지고 통증이 있다면,당산동 영등포구청 진료과목 정형외과 삼성의원 외상 통증 클리닉

 

결절종 / Ganglion

 

종양 중 제일 흔한 것이며, 손목과 손에서 나타납니다.

마치 물주머니 같은 모양으로, 관절막과 유사한 구조의 주머니를 이루면서 주머니 안에 투명하고 끈적끈적한 젤리(mucin) 같은 것이 들어 있는 연부 조직(soft tissue) 종양입니다.

 

크기는 콩알만 한 것에서 작은 알밤만 한 것까지 여러 가지가 있다. 남자보다 여자에게 많고, 10대에서 30대 사이에 많이 생긴다.

 

 

원인

결절종의 정확한 발생 원인은 아직 확실히 밝혀지지 않았으며 통증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다만 힘줄을 싸고 있는 막이나 관절을 싸고 있는 막과 같은 세포들이 퇴행 변화를 일으켜 점액을 생성하는데, 이것들이 모여 혹이 된다고 추정하고 있습니다.

 

움켜잡기, 손가락으로 집기, 쥐어짜기, 비틀기 등의 활동을 반복적으로 할 경우,

염증이 생겨 결절종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요즘은 컴퓨터를 이용할 때 손이나 손목에 무리가 가중되면서 결절종 환자가 늘고 있습니다.

 

증상

주로 손목 등쪽으로 피부 바로 밑에서 피부를 불룩 튀어나오게 하는 덩어리가, 딱딱하게 또는 약간 물렁하게 만져집니다.

 

그 밖에 특별한 증세는 없으나, 통증이 있다면 힘줄염 이나 신경 자극, 골간 인대 손상 등이 동반되었을 가능성이 있고 증상이 심하다면 주상 월상 인대 손상이 있는지 확인 하시는 게 좋습니다.

 

 

검사

일반 x-ray 검사 시 보고자 하는 조직에 조건을 마쳐야 하나 결절종의 진단은 초음파로 99% 가능합니다.

 

치료

결절종은 다른 곳에 전이되는 등의 해로운 점은 전혀 없으나, 아주 드물게 요골 동맥, 척골 동맥 등의 혈관을 눌러 증세가 나타나거나 신경을 눌러 통증이나 마비가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치료는 크게 수술적 치료와 비수술적 치료로 나눕니다.

 
비수술적 치료는 주사기로 젤리를 뽑아낸 후 그 주머니에 호르몬 제제 등의 여러 가지 약제를 넣는 방법과, 그냥 눌러서 터트리는 방법이 있으나 재발이 잘되는 편이다.


외과적 수술은 최종적인 방법으로, 증상이 심하거나 모양이 흉할 때 실시 합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