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의 대표적인 스포츠, 겨울스키와 스노보드 탈때 주의 할점!

멋진 활강과 스릴 넘치는 점프를 상상만 해도 스트레스가 저절로 날아가는 듯하다. 하지만 스포츠를 즐기기도 전에 부상으로 인해 한겨울밤의 꿈이 될 수도 있다.

스키는 1년 이내의 경험을 갖고 있는 초보자 중 약 30%가 부상을 경험한다. 스노보드는 처음 타는 사람 중 약 50%가 부상을 당한다고 한다.

소방방재청에 따르면 최근 3년('10/11~'12/'13시즌)간 스키장 연평균 이용객 655만 명 중 한 해 평균 1만714명의 부상자가 발생했다. 그중 혼자 넘어지는 사고로 5천850명(54.6%), 충돌 4천868명(45.4%)으로 대부분이 개인의 부주의와 과속이 원인이었다.

 

 

스키, 무릎부상으로 전방십자인대 파열 위험

스키로 인한 무릎부상은 경골(정강이뼈) 골절이나 전방십자인대 파열이 가장 흔하다.

경골 골절의 부상을 막으려면 부츠와 스키를 연결하는 바인더의 고정력을 낮춰야 한다. 과거에는 표준 수치를 무시한 채 임의로 수치를 조절해 경골 골절이 많이 발생했다. 요즘은 첨단 장비 사용의 보편화로 경골 골절이 급격히 감소했다.

하지만 전방십자인대의 손상은 줄지 않고 있다. 스키를 타다가 중심을 잃고 뒤로 주저앉는 과정에서 무릎이 구부러지는데 이때 스키 테일의 내측 날이 눈에 걸리면서 무릎에 회전을 일으켜 전방십자인대가 끊어지게 된다.

전방십자인대 파열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안전사고를 대비한 교육이 필수다. 스키를 탈 때 가장 중요한 것은 안전하게 넘어지는 것이다.

스키를 타다가 잘못해서 넘어지면 다리가 벌어지고 무릎이 돌아가면서 다치는 경우가 많다. 넘어질 때는 무릎을 구부린 상태로 두어야 한다.

     
또한 손을 뒤로 짚지 않아야 하고 미끄러져 정지할 때까지 무리하게 일어나지 말아야 한다. 넘어진 상태에서는 팔을 앞으로 뻗고 스키를 가지런히 모은 다음 손이 스키 위에 놓이도록 한다.

스노보드, 팔과 어깨부상 조심해야

스노보드는 스키보다 더 무겁고 두발이 보드에 묶인 채 폴대를 잡지 않고 타기 때 때문에 팔의 손상이 많다. 뒤로 미끄러져 넘어질 때는 손목, 팔꿈치 관절의 손상이 많다.

반면에 앞으로 미끄러질 때는 어깨관절, 손목관절의 손상이 많다. 최근 들어서는 숙련자나 경사도가 급한 중상급자 코스의 이용객이 늘어나면서 어깨 손상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어깨의 힘줄 손상, 탈구, 견봉-쇄골 관절 분리 및 쇄골 골절 등이 많이 나타난다.

스노보드로 인한 부상을 예방하기 위해 지켜야할 가장 중요한 것은 헬멧과 보드전용 장갑, 보호대를 착용하는 것이다.

앞으로 넘어질 경우 무릎을 굽혀 땅에 대고 팔과 손바닥 전체로 땅을 짚어 충격을 흡수해야 한다. 뒤로 넘어지는 경우에는 엉덩이 부위를 이용해 옆으로 미끄러지듯 넘어지도록 한다.

또한 인파가 몰려 사고가 많이 발생하는 시간에는 더욱 조심해야 한다. 적절한 휴식을 통해 피로를 회복하는 것, 각자 수준에 맞는 슬로프를 선택하는 것도 중요한 예방법이다.

부상 시 방치하지 말고 전문의 진단 받아야

스키나 스노보드를 타다가 부상을 당했을 때는 바로 응급처치를 받아야 하며 무엇보다도 증상에 대해 스스로 판단하면 안 된다.

대부분의 리조트에는 정형외과 전문의가 상주해 있으므로 의무실 방문을 통해 응급조치를 받고, 부목 고정 등으로 추가 손상을 예방해야 한다.

골절에 의한 부상은 겉으로 보이기 때문에 대부분은 제대로 된 치료를 받는다. 하지만 무릎의 인대 손상의 경우 상황이 다르다.

무릎이 부어 있거나 관절액이 증가된 혈관절증(피가 고이는 증상)이 의심되는 경우 무릎이 다 펴지지 않거나 걸리는 느낌 등의 증상이 있다면 반드시 정형외과 를 찾아야 한다.

 “전방십자인대 파열 같은 무릎부상은 가벼운 통증과 무릎이 붓는 증상만 나타나기 때문에 치료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있다” 며 “부종(멍)과 통증이 가라앉은 다음에라도 정형외과 전문의를 찾아 인대, 연골 등의 부상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고 조언한다.


겨울철 운동 시 명심해야 할 사항

-겨울철 운동 전, 스트레칭을 포함한 준비운동은 필수
-초보자라면 전문가에게 교육 받고, 자신에게 맞는 코스 선택
-중급자라면 평소에 하지근력 및 허리근력 강화 운동으로 부상 대비
-헬멧, 장갑, 보호대 등 장비 착용

 

[몸짱기자의 박현 취재수첩]


스키,스노보드,스케이팅,스크린골프등 겨울철 운동시"피로골절 주의보

 

본격적인 겨울이 시작됐는데요, 건강한 겨울을 나기 위해서는 기온이 떨어져도 운동을 게을리 하지 않아야 합니다. 그러나 운동 시 준비운동을 소홀히 하면 '피로골절'이 일어나기 쉬워 주의가 필요합니다.

 

피로골절이란? 피로골절은 뼈에 금만 가는 것으로, 준비운동 없이 과도한 운동을 할 때 잘 생기는데요, 운동 전 충분한 준비운동을 하지 않으면 근육이 충격 흡수를 할 수 없는 상태가 되는데, 이때 근육에서 흡수하지 못한 충격이 고스란히 뼈로 가 뼈에 피로가 쌓여 실금이 가게 되는 것 입니다.

 

피로골절의 20~25%는 하체에 생기는데. 무릎 뼈 바로 밑이나 발목에서 흔하게 발생 합니다. 피로골절이 있으면 걷거나 발을 누를 때 찌릿한 통증이 느껴지고, 다리가 잘 부어 쉽게 가라앉지 않는 경향이 있습니다.

 

스크린골프를 칠 때도 피로골절에 주의해야 합니다. 좁은 공간에 앉아있다 준비 운동 없이 스윙을 하면 갈비뼈에 피로골절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가벼운 늑골 피로골절은 충분히 쉬기만 해도 뼈가 저절로 붙지만, 근육통으로 잘못 알고 계속 운동을 하면 뼛조각이 떨어져 폐가 다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늑골 골절 시 주기적인 X-RAY경과 관찰을 요 합니다.

 

통증의 증상만으로는 근육통과 피로골절을 구분하기 어렵기도 하는데요, 1주일 정도 근육통 증상이 지속되면 피로골절을 의심해봐야 합니다. 피로골절은 엑스레이나 CT(컴퓨터단층촬영) 등으로 진단할 수 있고, 뼈가 어긋나지 않았으면 깁스(부목)만 하면 됩니다.

 

그러나 피로골절이 진행돼 뼈가 어긋난 경우는 철심을 박아 뼈를 고정하는 수술을 해야 할 수도 있어 꼭 사전에 X-ray등 검사를 꼭 해보셔야 합니다.

 

스트레스골절이라고도 하는 피로골절은 충분한 준비 운동 없이 갑자기 운동을 한다 던지 반복되는 자극으로 뼈의 일부분에 실금이 생기는 증상 이므로. 근육이 뼈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충격을 흡수해야 하는데, 장기간 무리한 운동으로 근육이 피로해져 기능을 제대로 하지 못함으로 발생 합니다.

주로 무릎 아래쪽 발가락과 발목 사이, 발뒤꿈치, 발목과 무릎 사이 정강이뼈에 나타 납니다..

피로골절은 사고로 인한 것이 아니며 서서히 진행되기 때문에 모르고 지나칠 수 있습니다. 초기에는 휴식 후 첫 발을 디딜 때 통증이 유발되다가 시간이 경과할 수록 통증이 심해져 체중을 지탱할 수 없게 되는데. 스트레스골절 부위가 아프고 부을 수 있지만 아무런 증상이 없을 수도 있습니다.

 

치료는?

피로골절로 진단을 받으면 상태에 따라 안정하는 것부터 부목이나 석고 고정까지 다양한 치료가 이루어집니다. 치료는 약물요법과 물리치료를 병행할 경우 대부분 4주 정도면 좋아집니다.


피로골절에 좋은 운동으로는 물속에서 걷기, 수영, 저강도의 고정식 자전거 타기 등 체중 부하가 없는 대체 운동을 꾸준히 하는 것이 근육량을 늘려 재발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운동 중 통증이 없어야 하며 유연성 강화 운동과 근력 강화 운동도 도움이 됩니다.


만약 치료시기를 놓쳐 제때 치료를 받지 못해 수술을 받아야 하는 경우에는 뼈이식까지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운동 후 통증이 12주 이상 계속되거나 불편감과 찜찜한 상태가 계속된다면 꼭 검진을 받아 보는 것이 좋습니다.

 

삼성 모비딕 기자단 

 

 

 

 

발목 불안정의 프롤로(증식)주사치료

발목&무릎 외상후의 불안정증의 초음파유도하 프롤로 (증식)치료

 

무릎 또는 발목을 접질리게 된 이후 적절한 치료 또는 치료를 받지 못한 경우 발목의 불편감과 불안정 증상을 보이는 경우는 30-40%로 비교적 높게 보고되고 있습니다.

 

발목 불안정증 원인

발목 불안정증은 한번 접질리게 발목의 약해진 인대가 치료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발목 부위의 뼈가 정상과는 다르게 기울어져 반복적으로 발목이 삐고 통증을 호소하는 증상을 말합니다.

 

증상

발목 불안정증의 대표적인 증상은 걸을 때 절뚝거린다든지, 걷는 자세가 불안정해지고 발목 움직임 시 소리가 나거나 발가락을 올리면 통증이 생기거나 피멍이 나타날 때 발목 불안정증을 의심해 볼 수 있으며, 증상을 내버려둘 경우 연골의 과도한 손상 탓에 관절염이 생길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외에도 바닥이 평평하지 않은 곳에서의 운동으로 발목이 접질리는 경우도 주의기 필요 합니다.

 

 

[접질린 발목: 방치 발목 불 안정증- 위 사진 X-ray 상 관절 간격이 벌어져 있다.추가적 검사는 근 초음파 검사, CT&MRI검사도 시행 할 수 있다.]

 

 발목&무릎 통증 염좌

 

무릎&발목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인 무릎&발목 염좌는 운동을 하거나 일상 생활시

발목을 접 지른 후 발목관절을 지탱하는 인대들이 손상을 입어 발생하게

되며 손상 초기에 적절한 치료를 받지 않으면 인대가 느슨한 위치에서

아 물 수 있으며 반복적으로 손상을 입게 되면 발목 관절 연골이

손상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또한 "인대가 늘어나고 파열되면 평소와는 달리 사소한 동작에도 재차 발목이 삐는 '만성 염좌'에 시달릴 수 있다" "만성 염좌는 발목 연골을 손상시키고 결국 퇴행성관절염의 시기를 앞당겨 수술을 해야 할 만큼 상황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최초 발목&무릎 손상 시 정확한 진단과 부목 고정술 등 치료는 매우 중요하게 간주되고 있습니다.

 

치료

이러한 무릎 발목 염좌 발생시 부목 고정술 과 프롤로 치료를 병행 할수 있는데요.프롤로 치료는 프롤로 테라피라는 인대증식 강화 치료로 고농도의

약물을 주입해 손상된 조직의 재생을 촉진시켜 손상부위를 강화시켜

주는 통증완화의 근본적인 치료로 많은 분들이 선호하시는

치료법 입니다.

 

 

 

발목 염좌 방치 시 발생하는 만성 불안정증

 

발목의 만성 불안정에서 관절내의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는 65%이상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특히 발목불안정이 장기간 지속되는 경우에는 관절연골손상과 연부조직 충돌증후군이 발생 될 수 있습니다.

 

내측불안정은 특히 장기적인 만성통증의 원인이 되며, 경골과 비골간의 경-비인대손상은 조기에 관절낭의 이완과 발목의 심한 불안정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내측불안정 또는 경-비인대손상의 경우에는 MRI 또는 근관절 초음파 검사를 시행해 정확히 상태를 파악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심한 경-비인대의 손상에서는 후방 경-비골간 연부조직 충돌 및 염증이 이차적으로 발생할수 있습니다.

 

따라서, 발목을 접지른 후 최초 검사시 경골-비골 간 경-비인대가 심하게 손상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발목의 내측인대의 손상이 있는 경우에는 MRI를 통해 손상 정도를 확인하고 프롤로 주사치료,또는 수술적치료 등의 적극적인 치료가 바람직합니다.

 

또한, 만성 발목불안정에 의해 충돌증후군의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에도 해당 인대에 대한 프롤로(증식)주사치료 또는 관절내시경 시술 등의 적극적인 치료가 바람직합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