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목 불안정의 프롤로(증식)주사치료
발목&무릎 외상후의 불안정증의 초음파유도하 프롤로 (증식)치료
무릎 또는 발목을 접질리게 된 이후 적절한 치료 또는 치료를 받지 못한 경우 발목의 불편감과 불안정 증상을 보이는 경우는 30-40%로 비교적 높게 보고되고 있습니다.
발목 불안정증 원인
발목 불안정증은 한번 접질리게 된 발목의 약해진 인대가 치료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발목 부위의 뼈가 정상과는 다르게 기울어져 반복적으로 발목이 삐고 통증을 호소하는 증상을 말합니다.
증상
발목 불안정증의 대표적인 증상은 걸을 때 절뚝거린다든지, 걷는 자세가 불안정해지고 발목 움직임 시 소리가 나거나 발가락을 올리면 통증이 생기거나 피멍이 나타날 때 발목 불안정증을 의심해 볼 수 있으며, 증상을 내버려둘 경우 연골의 과도한 손상 탓에 관절염이 생길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외에도 바닥이 평평하지 않은 곳에서의 운동으로 발목이 접질리는 경우도 주의기 필요 합니다.
[접질린 발목: 방치 발목 불 안정증- 위 사진 X-ray 상 관절 간격이 벌어져 있다.추가적 검사는 근 초음파 검사, CT&MRI검사도 시행 할 수 있다.]
발목&무릎 통증 염좌
무릎&발목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인 무릎&발목 염좌는 운동을 하거나 일상 생활시
발목을 접 지른 후 발목관절을 지탱하는 인대들이 손상을 입어 발생하게
되며 손상 초기에 적절한 치료를 받지 않으면 인대가 느슨한 위치에서
아 물 수 있으며 반복적으로 손상을 입게 되면 발목 관절 연골이
손상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또한 "인대가 늘어나고 파열되면 평소와는 달리 사소한 동작에도 재차 발목이 삐는 '만성 염좌'에 시달릴 수 있다"며 "만성 염좌는 발목 연골을 손상시키고 결국 퇴행성관절염의 시기를 앞당겨 수술을 해야 할 만큼 상황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최초 발목&무릎 손상 시 정확한 진단과 부목 고정술 등 치료는 매우 중요하게 간주되고 있습니다.
치료
이러한 무릎 발목 염좌 발생시 부목 고정술 과 프롤로 치료를 병행 할수 있는데요.프롤로 치료는 프롤로 테라피라는 인대증식 강화 치료로 고농도의
약물을 주입해 손상된 조직의 재생을 촉진시켜 손상부위를 강화시켜
주는 통증완화의 근본적인 치료로 많은 분들이 선호하시는
치료법 입니다.
발목 염좌 방치 시 발생하는 만성 불안정증
발목의 만성 불안정에서 관절내의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는 65%이상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특히 발목불안정이 장기간 지속되는 경우에는 관절연골손상과 연부조직 충돌증후군이 발생 될 수 있습니다.
내측불안정은 특히 장기적인 만성통증의 원인이 되며, 경골과 비골간의 경-비인대손상은 조기에 관절낭의 이완과 발목의 심한 불안정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내측불안정 또는 경-비인대손상의 경우에는 MRI 또는 근관절 초음파 검사를 시행해 정확히 상태를 파악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심한 경-비인대의 손상에서는 후방 경-비골간 연부조직 충돌 및 염증이 이차적으로 발생할수 있습니다.
따라서, 발목을 접지른 후 최초 검사시 경골-비골 간 경-비인대가 심하게 손상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발목의 내측인대의 손상이 있는 경우에는 MRI를 통해 손상 정도를 확인하고 프롤로 주사치료,또는 수술적치료 등의 적극적인 치료가 바람직합니다.
또한, 만성 발목불안정에 의해 충돌증후군의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에도 해당 인대에 대한 프롤로(증식)주사치료 또는 관절내시경 시술 등의 적극적인 치료가 바람직합니다.
'통증·인대 주사치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골반,엉치통증 프롤로테라피 골반교정 당산동 합정동 진료과목 정형외과 통증의학과 삼성의원 (0) | 2014.11.04 |
---|---|
손목통증:과사용에 의한 손상 [영등포구청역 진료과목 정형외과”삼성의원”] (0) | 2014.11.04 |
자세 불균형에 의한 근막 통증치료[영등포 구청역 진료과목 정형외과 통증의학과]삼성의원 (0) | 2014.11.04 |
무릎통증:퇴행성관절염 치료 삼성의원 통증 클리닉 (0) | 2014.11.04 |
[영등포구청역 진료과목 정형외과] 삼성의원 허리통증,만성요추 불안정증 동시 치료 (0) | 2014.1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