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영등포구청역 사거리에 위치한 삼성의원입니다.
흔희 발목을 삐었을때 골절 및 발목인대손상, 발목힘줄(건)손상, 발목연골손상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괜찮다 생각하여 초기 치료를 소홀히 한다면 최초 손상 부위가 불완전하게 치유된 상태로 유지되면 발목불안정을 초래해 만성적으로 발목관절에 통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위 초기 치료의 원칙을 지키면서 부목 고정, Aircast 등의 발목 보조기를 이용하여 약 4~6주간의 고정을 시행해야 할 것입니다.
이후에는 비골건 강화 운동, 고유 수용체 회복 프로그램 등을 시행해서 재발을 방지하고, 만성 족관절 불안정성으로 진행하지 않도록 유의하여야 합니다.
검사
이학적 검사와 스트레스 촬영 (physical examination and stress radiographs)
-외측 족관절 만성 불안정성을 검사하는 데는 이학적 검사 또는 방사선학적인 검사가 중요한 것으로 생각되고 있습니다.
단순한 급성 손상인 경우에는 MRI 검사가 꼭 필요한 것은 아니나 증상이 계속되는 경우에는 MRI 검사를 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발목 염좌
발목이 접질린 후, 손상된 부위에 대해 부종과 함께 통증이 생기고, 손상 부위를 누르게 되면 통증(압통)과 함께 피하출혈이 발생하면 인대의 손상을 의심하여야 합니다.
우선 발목 염좌와 함께 동반될 수 있는 골절 유무의 확인을 위해 단순 방사선 사진을 촬영하며, 스트레스 부하 방사선 검사를 통해 불안정의 유무를 확인하게 됩니다.
치료의 목적은 습관성 염좌(발목 불안정)를 방지하기 위함이며, 즉각적인 응급처치는 RICE요법(안정-냉찜질-압박-심장보다 높게)을 시행하게 되며, 수상 직후부터 시작하여 적어도 48시간 동안 지속하며, 이러한 처치가 통증과 염증반응을 감소시킬 뿐 아니라 치유를 촉진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대부분 초기에 비수술적 치료가 시행됩니다.
1도 손상의 경우 관찰하거나 압박붕대 또는 단하지 부목 고정 후 조기 운동을 실시하며, 1~2 주 후에 운동에 복귀할 수 있습니다.
2도 손상인 경우에는 초기 10~14일간 부목 고정을 실시한 후 보조기 착용 하에 관절 운동을 어느 정도 허용하며, 비골근(종아리근육) 강화훈련을 적극적으로 시행하게 됩니다. 체중 부하가 가능해지면 목발은 더 이상 사용할 필요가 없습니다.
3도 손상의 경우에는 보존적 치료를 우선 시행하고 손상 당시 불안정성이나, 관절 연골의 손상이 동반된 경우 선택적으로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게 됩니다.
대부분의 발목 염좌는 수술을 결정하기 전에 일정 기간의 보존적 치료 기간이 필요하며, 발목 염좌 발생 후 생길 수 있는 만성 합병증으로는 불안정성, 충돌 증후군, 관절 연골 손상, 관절 내 유리체 등이 있습니다.
'스포츠 외상,골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손목 통증 등 발목을 삐었을 때는 부목 고정술 영등포구청 정형외과 통증치료 삼성의원 (0) | 2020.02.28 |
---|---|
부딪히거나 삐었을 때 엑스레이(X-RAY)촬영은 영등포구청역 4번 출구 삼성의원 (0) | 2019.12.07 |
응급처치 뼈가 부러지거나 관절을 삐었을 때! 당산동 영등포구청 사거리 삼성의원 외상,골절 클리닉 (0) | 2016.06.01 |
교통사고 외상 자세 습관에 의한 경추 후관절증후군 원인과 치료 당산동 양평동 정형외과 통증의학과 (0) | 2016.05.20 |
삼성의원(골절,외상/통증)영등포구청 당산동 정형외과 손목 골절 원인과 치료 (0) | 2015.08.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