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리 치료 physical theraphy

 

물리 치료란 이나 얼음, 공기, 광선, 전기, 전자기파, 초음파, 기계적인 힘, 중력 등을 이용하여 통증을 완화시키거나 조직의 치유를 촉진시키고, 신체의 움직임을 향상시키는 등 특정한 목적의 치료 효과를 얻고자 하는 시술을 말합니다.

 

1.치료종류

1)온열 치료(heat therapy)
-
표재열 치료: 핫팩, 파라핀욕, 적외선 치료, 저에너지 레이저

-
심부열 치료: 초음파, 단파 투열, 극초단파 투열

2) 한랭 치료(cold therapy): 얼음팩, 얼음 마사지, 얼음 욕조


3)
전기 치료(electrical therapy): 경피적 전기 신경 자극(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TENS), 간섭파 치료 (interferential current therapy, ICT), 전기 자극 치료(electrical stimulation therapy, EST), 신경근육 전기 자극(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NMES)


4)
역학 치료(mechanical therapy): 척추 견인 치료(traction), 마사지, 재활도수 치료(manipulation)


5) 수 치료(aquatic therapy)

 

2.치료시간

물리치료 방법에 따라 다르지만, 대개는 30~40분 이내 입니다.

 

3.치료질병

각종 통증, 근육 경직, 관절 구축, 염증, 관절염, 마비

1)
온열 치료: 요통, 경부통, 근막통증 등 각종 통증, 근육 경직, 관절 구축 완화
2)
한랭 치료: 외상 후 일차적 치료로 사용하여 통증, 염증을 완화시킴
3)
전기 치료: 통증 완화, 근육 강화
4)
역학 치료:
경추 요추 통증 완화
5)
수 치료: 관절염, 경직,
뇌졸중 척수 손상 등으로 인한 마비

 

 

 

물리치료실 김효령 실장님,박영순 선생님은 최선을 다하여 치료해 드립니다.^^

 

 

 

 

 

 

 

 

 

 

 

 

 

 

X-RAY 검사

방사선 검사는 단순 흉부 촬영, 단순 복부 촬영, 단순 골격 촬영, 단순 부비동 촬영, 단순 경부 연조직(neck soft tissue) 촬영, 유방 촬영 등 기타 의료 현장에서는 진단과 치료에서의 기본장비 입니다.

흔히 뼈만 보는 것으로 오해 할 수 있는데 보고자 하는 부위 와 촬영 방법에 따라 진단의 범위는 넓다 하겠다.

부작용 후유증[X-ray 촬영과 일상생활 비교]

 

        1.서울에서 제주 비행 편도 여행- x-ray 3번 촬영 정도 피폭

        2. 년간 자연상태 방사선 피폭 (지역에 따라 차이 있음)–

                            X-ray 36-50번 촬영 피폭

3.CT촬영 1- 공항 투시 검색 통과1]

 

특별한 부작용은 없다. 다만 X선에 노출된다는 점이 있기는 하지만 진단 목적의 단순 촬영 시 노출되는 X선의 양은 미미하여 부작용을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우리가 일상 생활을 하면서도 외계로부터 오는 우주선(cosmic radiation)이나 자연상에 존재하는 방사성 물질에 의해 방사선에 노출되게 되는데, 이러한 양은 일반적으로 연간 약 2~5mSv 정도이다. 고산지대에 사는 경우는 해수면 높이에 사는 사람보다 연간 약 1.5mSv 정도의 방사선에 더 노출되며, 비행기 여행을 하는 경우는 약 0.3mSv 정도의 방사선에 더 노출된다.

병원에서 가장 흔히 촬영하는 단순 흉부 방사선 촬영의 경우, 촬영 시에 노출되는 방사선 조사량은 0.1mSv로 일상 생활을 하면서 우리가 약 10일간 노출되는 정도의 미미한 양으로, X선을 이용한 검사를 받음으로 인한 방사선 노출의 위험과 검사를 시행함으로써 얻게 되는 이득을 따져 보았을 때 큰 해를 유발하지 않는 정도의 양이다.

임신
시에 우연히 시행한 방사선 검사의 경우 일반적으로 아이의 성장 발달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중대한 질병의 발생이나 다른 합병증이 유발될 가능성도 적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임신 시에 불필요한 방사선 조사는 되도록 피하는 것이 좋으며 따라서 임신을 하였거나 임신 가능성이 있을 시에는 담당 의사나 방사선사에게 알리는 것이 좋습니다.

단순 흉부 방사선 촬영이나 두부 및 사지 촬영 등의 경우에는 방사선 조사가 자궁을 피하게 되므로 태아 에게 직접적으로 X선이 조사되지 않으며, 이러한 경우에도 납치 마 등으로 태아의 X선 조사를 최소화 합니다.

 

 

 

 

 

근골격계 초음파 검사 musculoskeletal ultrasonography

 

의의

초음파를 이용하여 근골격계 구조물과 병적 소견을 영상화하는 검사로서, 특히 연부조직 질환의 진단에 유용하고, 방사선을 이용하지 않아 인체에 무해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초음파를 인체에 투과시키면 근골격계를 이루는 구조물들, 피하지방, 근육, 인대 등에서 초음파가 반사되어 메아리처럼 돌아오게 되고 신호를 받아서 영상으로 재구성 합니다.

 

종류

관절 초음파 검사, 근육 초음파 검사, 힘줄 초음파 검사, 인대 초음파 검사, 종양 초음파 검사, 초음파 검사 유도 하의 흡인, 조직검사관절주사

 

주 질병 진단

관절염, 건염, 윤활낭염, 근육파열, 힘줄-인대 파열, 봉와직염, 연부조직 농양, 낭종, 양성 및 악성 종양, 수근관 증후군, 방아쇠수지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