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깨 통증의 대표적 질환과 원인, 치료는?

 

 -후엔 비수술적 견관절 통증 치료 프롤로테라피,체외충격파 자기장치료

 

1.어깨 통증의 원인

1).어깨 관절 질환
2).
목 디스크
3).
견갑 흉곽 관절 이상
4).
근육통, 탈구

5). 자세 및 과사용 증후군

 

2.대표적인 어깨 관절 질환

1). 회전근개 질환 (70%)
2).
오십견 (20%)
3).
석회화 건염 (5%)
4).
견봉 쇄골 관절염
5).
퇴행성 관절염

  

3.회전근개란 무엇입니까?
 
·어깨 관절을 감싸고 있는 힘줄.
·4개의 힘줄을 통틀어 지칭
·견갑하건, 극상건, 극하건, 소원건 입니다.
 
3-1.
회전근개의 기능은 무엇입니까?

1)운동원으로의 기능
2)
관절의 안정성을 부여

3회전근 개의 가장 중요한 기능
-
팔을 올릴 때 상완골을 아래로 눌러줌

 

3-2회전근개의 염증?
-
힘줄에 변성이 생겨 약해진 것
-
옷감이 닳아서 헝겊처럼 너덜너덜 해진 것

 

3-3회전근개의 파열?
-
회전근개의 염증
-
충돌 및 후방 관절막의 구축

 

3-4힘줄에 파열이 발생
-
통증의 원인
-
충돌
-
후방 관절막의 구축

3-5
회전근개의 질환의 증상들?

- 팔을 올릴 때나 내릴 때 통증
-
갑자기 팔을 뻗거나 선반의 물건을 잡을 때 통증
-
팔을 등 뒤로 올리기 어렵다.
-
밤에 심한 통증
-
아픈 쪽으로 돌아눕기가 어렵다.
-
어깨를 돌리면 마찰되는 소리가 들린다.

 

3-6회전근개 염증의 치료

-약물치료
-
주사치료(인대강화주사)
-
물리치료 및 관절 이완 운동 (스트레칭)
-
근력 강화 운동

 

1)주사 치료(통증 완하,인대강화)

- 충돌 - 견봉하 공간의 점액낭
-
후방관절막 관절내

-인대강화 주사
 
2)
운동 치료 요법

1.관절 이완 운동 (스트레칭)
2.
근력 강화 운동

 

3)운동 치료의 목적
 
-
회전근개 : 4개의 힘줄이 서로 연결되어 상호 작용
-
후방 관절막 구축 제거 및 4개의 힘줄 중 남아있는 정상적인 회전근을 강화시켜서 충돌이 일어나지 않게끔 함.

 

3-7회전근개 파열의 치료 : 수술 - 관절 내시경

- 견봉 성형술
-
회전근개 봉합
 
4.
오십견이란 무엇입니까?

- 관절막에 염증이 생겨서 운동 제한이 생기는 질환
-
어깨의 통증과 더불어서 어깨 관절이 굳어지면서 운동의 제한을 받게 되는 상태
 
4-1
오십견의 증상들?

-팔을 올리기도 어렵고 돌리기도 어렵습니다.
-
어깨 전체가 다 아파요
-
옷깃만 스쳐도 아플 정도로 통증이 심해요.
-
어깨가 아파서 머리를 감거나 옷을 입고, 벗을 수가 없어요.
 
4-2
오십견의 치료

1) 약물치료
2)
주사치료
3)
물리치료,관절 이완 운동 (스트레칭)
4)
관절 내시경 - 관절막 절개술

 

5.석회화 건염은 무엇입니까?

1) 회전근 개 내에 석회질 형성
2)
석회질이 분해되기 시작할 때 심한 통증
3)
혈류 공급이 줄어들어 발생
4)
갑자기 응급실을 찾아올 정도로 극심한 어깨 통증
 
5-1
석회화 건염의 치료

1)체외 충격파고 에너지로 석회질 분쇄, 혈류 증가시켜 분해 촉진
2)
주사로 천공 및 세척 (초음파)
3)
관절 내시경적 제거
 
6.
어깨 질환을 예방하려면?

1)나이에 맞는 운동 종목과 운동량 조절
2) 5
분 정도 어깨관절 스트레칭
3)
근력운동은 가벼운 무게부터 단계별로 늘린다
4)
오랜 시간 같은 자세 – 1시간에 5분 스트레칭
5)취침 전 따뜻한 목욕이나 어깨 찜질

 

프롤로(증식)주사란?

1)증식제는 증식요법에 사용되는 약물들로 염증반응을 일으켜 새로운 콜라겐의 형성을 이끄는 약물입니다.

 

증식제를 주입함으로써 창상치유의 첫 단계인 국소적인 염증단계(local inflammation stage)를 시작시키고, 이런 염증 단계가 시작되면 시작된 부위로 거대핵구와 백혈구 등의 염증세포가 모이고 섬유아 세포가 따라서 모여드는데 이러한 세포들로 인해 새로운 콜라겐이 만들어지게 됩니다.

 

2)이 새로운 콜라겐에 수축이 일어나며 손상되어 느슨해진 인대를 좀더 단단히 잡아당겨 인대의 강도가 증가하게 됩니다.

 

프롤로치료의 적응증

어깨질환:오십견, 충동증후군, 회전근개 파열, SLAP병변, 재발성 탈구, 어깨인대손상

 

팔꿈치 질환:골프엘보, 테니스엘보, 팔꿈치인대손상, 주관증후군, 요골관증후군

 

손목질환:손목인대손상, 손목힘줄손상, 손목건초염, 삼각섬유연골 복합체손상, 방아쇠 수지

 

골반통증:천장관절인대손상, 골반불안정, 산후골반통, 골반틀어짐, 만성 골반통증증후군

 

무릎질환:주변부 반월상연골손상, 초중기 퇴행성 관절염, 인대손상, 만성 건 질환

 

발목 및 발질환:만성 발목인대손상, 아킬레스건 손상, 족저근막염

 

허리통증:후관절증후군, 분절불안정, 허리인대손상

 

목통증:근막통증후군, 목인대손상,경추상완중후군

 

 

 

 

,어깨 견갑통증의 원인과 치료:

 

목통증,목어깨(경견부) 견갑통증,어깨통증,어깨뭉침,어깨결림 등의 증상을 일으키는 원인은 매우 다양하지만 최근에는 척추의 정렬 이상과 관련된 역학적 원인의 통증이 가장 흔한 원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역학적 원인의 목,어깨 견갑통증

1),어깨통증은 여러 가지 다양한 원인에 의해 생길 수 있으나, 대개는 인대, 근육, 목뼈의 정렬상태의 이상과 관련된 역학적 원인에 의한 경우가 가장 흔합니다.

 

2)이와 같은 역학적 원인에 의한 목,어깨통증이 만성적으로 지속되는 경우는 그 원인을 명확히 파악하여 치료를 해주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7개의 목뼈중 상부의 2개는 두개골과 연결되어 있으며, 하부 5개에 비해 두부의 좌우 회전과의 연관성이 큰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3)목의 안정성은 뼈들 간의 후관절, 디스크, 근육, 인대 등에 의해 지지되고 있습니다. 목뼈의 정렬상태의 이상이 있는 경우 목이 갑자기 꼬이는 것과 같은 사경성 목 통증이 생길 수 있으며, 목을 뒤로 제치거나 목에 작은 충격에 의해서도 쉽게 통증이 악화될 수 있습니다.

 

잠을 자고 나서 갑자기 목을 움직이기 힘든 정도의 목 통증이 느껴지기도 합니다. 목디스크의 변성, 목의 퇴행성 척추증도 역학적 원인의 목통 증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4)통증은 목에서 시작되어 어깨와 두부로 방사되는 경향이 있으며, 목의 움직임에 제한이 있고, 목을 움직이면 통증이 악화됩니다. 통증이 팔을 타고 전달되어 바늘로 찌르는 것 같은 느낌이 들 수 도 있습니다.

 

5)역학적 원인의 목통증의 증상을 보이면 목의 정렬상태에 대한 방사선촬영, 목의 부착인대와 근육에 대한 적외선 체열검사(DITI검사), MRI검사 등을 통해 상태를 파악하게 됩니다.

 

6)치료는 증상 완화를 위해 경구 소염제투여, 물리,재활치료를 우선적으로 하게 됩니다. 그러나, 통증이 점차적으로 심해지는 경우, 어깨관절, 팔의 움직임의 제한 또는 감각이상 등의 증상을 보이는 경우에는 보다 적극적인 프롤로 치료가 바람직합니다.

 

통증이 다소 완화되면 자세교정, 목근육의 스트레칭, 목의 지지 근육 강화운동을 통해 재발의 방지를 도모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목 어깨통증(경견부통증)

-경견부 통증이란 목에서 어깨로 이행되는 부위, 견갑골 주위, 양측 견갑골 사이 영역의 통증을 의미합니다.

 

-상기한 부위중 한 영역에서만 통증이 나타 날수도 있고, 두 영역이상에서 동시에 통증이 나타 날수도 있습니다.

 

-원인 질환은 근육의 과긴장, 근막통증, 견관절 다방향불안정성, 척추골절/늑골골절, 경추의 후관절증후군, 경추디스크, 경추 척추관협착증, 대상포진 등과 같은 여러 가지의 원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대체로 어떤 특정 동작과 연관되어 있는 경우는 구조적 이상이 원인인 경우로 봅니다. 동작과 관계 없이 통증이 오는 경우는 염증성 또는 신경성 통증으로 봅니다.

 

-견갑골 주위에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는 근막통증, 경추신경근과 관련된 통증인 경우가 많으며, 이 두 경우는 견갑골의 위치이동 즉 견갑골 이형성증과 관련이 있습니다.

 

견갑골 이형성증(SICK)

-견갑골이형성증 이란 견갑골의 이상위치, 견갑골 하내측 경계의 돌출, 오구돌기의 통증과 이상위치, 견갑골의 이상운동을 특징으로 하는 임상 상태를 말합니다.

 

-일종의 근육 과사용 피로증후군입니다.

 

-견갑골의 비대칭적인 이상 위치로 검사상 한쪽 어깨가 다른 한쪽보다 낮게 위치합니다.

 

-근육 활성화의 변화를 통해, 견갑골의 운동이상을 초래합니다.

 

-하측 내측 견갑골 경계 돌출, 내측 견갑골 경계 돌출, 상내측 견갑골 경계 돌출의 세가지 유형이 보고되어 있습니다.

 

-견갑골 이형성증과 "포크레인 이론(Excavator theory)"

어깨 운동의 운동 사슬(kinetic chain)을 포크레인과 유사하다라고 보는 이론입니다.

 

-즉 땅은 우리 몸의 몸통, 포크레인의 몸통은 견갑골, 포크레인의 팔은 회전근개라고 보는 것입니다.

 

-, 견갑골의 위치가 틀어졌거나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지 않다면, 이에 따라 회전근개와 어깨 안정성에 중요한 구조물에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는 의미입니다.

 

 

경추신경근과 관련된 통증

-경추신경근 주위에 원인이 있는 경우 구조물 자체의 통증 수용체에서 느끼는 통증(nociception), 국소적 염증반응에 의한 통증, 신경근의 신경전달 방향으로의 통증과 같이 세가지 종류의 통증이 올 수 있습니다.

 

-Cannon 박사는 신경에 의해 지배 받는 모든 조직과 구조물들은 신경이 보낸 nerve impulse에 의해 그 기능을 유지하게 되는데, 신경전달 흐름에 문제가 발생 하게 되면 해당 지배 조직은 매우 과민한 상태로 변해 통증을 느끼게 된다고 보고하였습니다.

 

-즉 신경지배 자체가 일종의 영양공급이며, 신경전달이 정상적으로 되지 않아 통증성 문제조직으로 변하게 된다라고 보고하였습니다("Denervation supersensitity theory" by Dr.Cannon).

 

견갑거근 질환에 의한 경견부통증

-소파에서 자는 경우와 같이 좋지 않은 수면 자세에 의해 아침에 심한 경견부 통증과 목의 심한 운동제한이 오는 원인이 됩니다.

 

-견갑거근은 제 1,2,3,4번 경추 횡돌기 또는 경추 측면에서부터 견갑골 상내측을 연결하는 근육으로 두부를 옆으로 회전시키는 기능을 합니다.

 

-통증부위는 목과 어깨가 만나는 경견부와 견갑골의 내측입니다. 견갑거근의 스트레칭은 머리를 옆으로 제치면서, 고개를 반대편으로 돌리는 동작을 반복하는 것입니다.


상부 승모근질환에 의한 경견부통증

-상부승모근은 경추의 후방에서 쇄골까지 연결되어 있습니다.

 

-통증부위는 경부 후방의 편측과 후두부, 눈주위, 턱뼈의 하연입니다. 승모근의 스트레칭은 머리를 옆으로 제치면서 고개를 같은 방향으로 돌리는 동작을 반복하는 것입니다.

 

견갑거근 질환/승모근 질환의 치료

-소염제투여와 증상완화를 위한 재활치료, 운동치료를 시행합니다. 국소적인 심한 통증의 경우 통증유발점에 대한 국소주사요법을 제한적으로 시행합니다.

 

-상기의 치료에도 장기간 심한 통증이 지속되는 경우 체외충격파치료 도는 프롤로치료를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승모근과 견갑거근의 만성적인 병변에 의해 경추 또는 흉추의 변형이 동반된 경우 척추의 정렬상태의 개선을 위해 척추교정을 하면서, 승모근과 견갑거근의 상태 개선을 위한 운동치료를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능형근 질환에 의한 경견부통증

-능형근은 견갑골 내측경계와 흉추를 연결하는 근육으로, 선반 위로 물건을 올리는 동작과 같이 팔을 어깨 높이 위로 들어 올리는 동작, 테니스, 조정, 무거운 책가방을 매는 경우, 한쪽 어깨로 가방을 매는 경우, 컴퓨터의 장기간 사용 등에 의해 발생합니다.

 

통증의 발생 위치는 양측 견갑골 사이의 흉추부 입니다. 치료는 견갑거근, 승모근 질환에서와 동일합니다.

 

전거근 질환에 의한 경견부통증

-전거근은 상부 8개 늑골에서 견갑골의 흉곽측 면까지 연결되어 있는 근육으로 long thoracic nerve의 신경지배를 받습니다.

 

-복싱의 잽동작과 같이 견갑골을 전방으로 이동시켜 주는 역할을 합니다.

 

-전거근의 기능 부전시에는 견갑골의 내측 경계가 돌출되는 익상견이 발생하게 됩니다. 반면 승모근의 기능부전에 의한 익상견시에는 견갑골의 외측 경계가 돌출되게 됩니다.

 

-전거근의 기능은 견갑골을 앞으로 이동시키는 기능, 견갑골의 외전과 관절와의 상방 이동, 능형근, 승모근 중앙부와 함께 견갑골의 내측경계를 흉추와 흉곽에 안정되게 고정시켜주는 역할을 합니다.

 

전거근 기능이상

전거근의 지배신경인 long thoracic nerve의 외상, 신경압박, 신경염 등에 의해 발생하며, 전거근의 기능이상이 의심되면, 익상견의 wall test를 시행합니다. 압박에 의한 경우 압박 원인을 수술적으로 제거 해야 하며, 전거근의 강화운동을 시행합니다.

 

다방향 어깨 불안정  
-
다방향 불안정성은 두 방향 이상으로 증상을 보이는 관절 이완의 상태로 정의되며, 이는 선천적으로 견관절이 이완되어 있거나 과도한 운동으로 인해 관절 낭과 인대가 이완되어 나타나는 불안정성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불안정성의 일차적 원인은 과도하게 이완된 관절 낭이지만 여러 요인들이 작용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습니다.

 

-다방향 불안정성은 견관절의 중간 운동범위(mid-range)에서 불안정한 것이 특징이기 때문에 일상 생활에서 외상성 단방향 불안정성보다 더 많은 문제점이 있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불안정성이 나타나게 되면 적극적인 치료를 시행하여야 합니다.

 

-다방향 불안정성에 대한 치료 목적은 불안정성을 제거하고 동통을 소실시켜 정상 운동을 가능하게 하며 일상 생활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있습니다.

 

-비외상성 다방향 불안정성은 비수술적 치료의 성공률이 80~90% 정도로 보고되고 있으며, 따라서 재활 치료와 생활 습관의 변화가 일차적 치료 방법으로 선택되고 있습니다.

 

- 재활 치료 중 견관절을 불안정하게 하는 자세나 운동은 삼가 하여야 하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작은 범위의 외전 운동(short-arc abduction exercise)이 적합합니다.

 

-재활 운동의 진행 속도가 빠르거나 너무 과도한 경우는 약해진 근육들이 피로해져 실패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속도 조절이 중요하며 팔을 항상 어깨보다 낮은 위치에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다방향 불안정성을 가진 환자는 종종 관절내 활액막 염을 가지고 있으며 이차적 충돌 증후군(secondary impingement syndrome)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재활 운동시 동통이 많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경구 소염제투여, 초음파유도하 국소주사 등을 병행하여 통증을 조절하면서 재활치료를 해나가는 것이 좋습니다.

 

-재활 치료 초기에는 삼각근과 회전근 개를 강화시키는데 중점을 두며 견갑-흉곽 안정화 근육도 서서히 강화하여 근육들 사이의 협조 능력을 회복시켜 주는 것이 좋습니다.

 

-승모근(trapezius)은 어깨 움츠리기 운동(shrug exercise), 전방 거근(serratus anterior)은 팔굽혀 펴기나 역기 운동(bench press exercise), 견갑 거근(levator scapulae)이나 능형근(rhomboid)은 노 젓는 운동(rowing exercise)을 통해 강화시킬 수 있습니다.

 

-이러한 운동은 최소한 6개월 이상 지속적으로 시행하여야 하며 재활 치료가 과도한 관절 이완을 없애는 것은 아니며 회전근 개와 삼각근의 근력 강화로 관절을 안정화시키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비수술적 치료에 반응을 보이지 않는 경우는 방카트병변, 회전근 간격, 오구-상완인대, 관절와-상완인대 등에 대한 프롤로테라피 또는 수술적치료를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익상견

-견갑골에는 많은 근육이 부착되어, 팔을 몸통에 견고하게 부착되게 하며, 어깨의 원활한 관절운동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견갑골 부착 근육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으면, 견갑골의 원활한 운동이 되지 않아 scapular dysrhysmia를 일으키고, 익상견(winging scapula)이 생기게 됩니다. 익상견에는 다음과 같은 유형이 있습니다.

 

전거근 기능이상

전거근의 지배신경인 long thoracic nerve의 외상, 신경압박, 신경염 등에 의해 발생합니다. 전거근의 기능이상에 의한 익상견이 의심되면 wall test를 시행합니다. 압박에 의한 경우 압박 원인을 수술적으로 제거 해야 하며, 전거근의 강화운동을 시행합니다.

 

승모근 기능이상

승모근 기능의 단독이상의 경우는 드물고, 종양 수술후 spinal accessory nerve가 손상되는 경우 등이 있습니다.

 

견갑 안정 근육의 약화

근 이영양증에서 발생하며, 이중 fascioscapulohumeral dystrophy 가 주 원인입니다.

 

견갑부착 구조물의 기능이상

-오구-쇄골관절, 견봉-쇄골관절은 견갑골이 몸통과 연결되는 유일한 연결점입니다.

 

-따라서, -쇄 관절 탈구, 쇄골 외측 1/3 골절, 오구-쇄골 인대 손상은 몸통과의 연결이 차단되어 익상견이 발생 할 수 있습니다.

 

-어깨통증은 심하지 않으나, 팔을 어깨 높이 위로 들어올리는 동작이 제한됩니다. 드물게, 견갑-흉곽 관절에 강한 외력이 작용해 scapulo-thoracic dissociation이 생겨 익상견이 발생 할 수 있습니다.

 

어깨 불안정에 의한 익상견

-익상견의 비교적 흔한 원인입니다. 어깨 불안정으로 인해 회전근개, 견갑 회전 근육등 어깨의 안정성에 중요한 구조물에 이상이 생겨 익상견이 발생하는 경우입니다.

 

-이 경우 비외상성의 경우가 외상성에 비해 익상견의 정도가 심하며, 외상성의 경우 탈구의 빈도가 높을수록 익상견의 정도가 심한 경향이 있습니다.

 

어깨통증에 의해 익상견이 생기는 경우

어깨통증으로 비정상적인 어깨 관절 운동의 결과로 생긴 경우입니다. 상완-관절와 관절의 운동범위가 감소하는 경우, 견갑-흉곽관절에서 보다 많은 어깨의 운동이 일어나게 됩니다.

 

상완 신경총 손상, 질병에 의한 익상견

상완신경총의 손상에 의해 견갑골의 부착근육이 약화되면 익상견이 올 수 있습니다. Parsonage-Turner 증후군은 상완신경총 신경염에 의해 익상견이 오는 경우입니다.

 

 

 

 

 

 

프롤로(증식)테라피다양한 치료법 주목!영등포구청역 당산동 양평동 진료과목 정형외과 통증의학과 재활의학과  삼성의원 외상 통증 클리닉

 

외상과 노화에 따른 모든 질환은 통증을 동반 하기도 하지만 특히 척추관절질환과 관련된 통증은 유독 통증강도가 심한 편이다.

 

그래서 많은 척추관절질 자들이 일상생활에 불편함이나 장애로 인한 스트레스를 호소하고 있는 게 보이지 않는 현실이다.

따라서 최신 치료법으로 통증을 치료하는 김병길원장에게 프롤로주사 치료에 대한 소견을 경청했다.

척추관절질환에서 나타나는 통증은 목 어깨, 허리, 손목 등 다양한 부위에 분포되어 있으며 심각한 경우 보행장애와 같은 큰 불편함을 나타내기도 한다.

또 통증은 몸의 이상반응을 나타내는 첫 신호이므로, 몸이 보내는 통증 신호에 촉각을 세울 필요가 있고 자가 치료보다는 병원을 찾아 원인을 확인 하는 게 매우 중요하다.

이렇게 통증이 심각할 때 병원을 찾으면 여러 가지 치료를 받을 수 있는데, 최근 가장 보편적으로 받는 치료가 ‘프롤로테라피’이다. 프롤로테라피는 ‘인대증식치료’라고 불리며 힘줄과 근육, 인대, 관절과 관련된 질환을 비수술적으로 치료하는 치료법이다.

이 치료법은 포도당이나 상응하는 약물을 급성 혹은 만성으로 약해진 힘줄, 인대, 관절 등에 주사하여 손상된 조직의 재생을 유도하여 치유하는 것을 말한다.

영등포구청역 근처에서 삼성의원 통증 클리닉을 운영하고 있는 김병길원장은 “기존의 통증 치료는 스테로이드나 소염주사제에 의존했지만,

프롤로테라피가 등장한 이후로 몸의 재생능력을 유도하는 치료법으로 변화하고 있다”며 “포도당이나 규명된 약물 주사를 이용하기 때문에 만성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 고령의 환자들도 부담 없이 치료를 받을 수 있다”고 전 했다.

 


프롤로(증식)주사 치료는 인대, 힘줄의 손상 혹은 퇴행성 변화나 부분적 파열이 일어난 부위에 주사를 하며, ‘인대강화주사’라고 불리기도 한다.

이렇게 주사를 하면 손상된 부위나 염증반응이 일어난 부위에 콜라겐 섬유가 증식되어 인대 혹은 힘줄의 손상을 이전 상태에 가깝게 복원할 수 있다.

특히 프롤로테라피는 인대 힘줄 근육의 문제에 의해 통증이 있거나 손목의 인대 힘줄 손상이 있는 경우, 시술을 하면 예후가 매우 좋다.

또한 만성적인 무릎 통증이나 인대 손상에 특히 가장 좋은 효과를 보이기 때문에 무릎인대증식치료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함께 퇴행성관절염이나 골반통증, 발목 인대 손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치료를 하기 위해서는 우선 관절초음파 검사를 통해 손상 정도를 확인 해야 하는데 상태에 따라 주 1회 주사로 약 3~5회 가량 시행된다.

김병길 원장은 “인대증식치료는 인체의 자연적인 치유과정을 유발하는 치료이기 때문에 기존 치료법과 차별화된다”며 “평소 만성 통증으로 인해 스트레스를 받거나 통증이 심한데 고령이거나 내과적 질환이 있어 기존 치료가 망설여지는 경우, 이 시술로 치료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덧붙여 말했다.

또한 김원장은임상에서 보면 통증 환자의 8,90%는 전문 프롤로 요법으로 치료가 가능하며 초기에 받으면 거의 대부분 완치할 수 있다고 하면서도, “하지만 모든 경우에 프롤로 요법으로 치료해야 하는 것은 아니므로 정확한 진단으로 통증의 원인을 파악과 문제가 있는 부위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메디아이데일리 은지원기자

 

 

 

 

 

프롤로(인대강화)주사치료 잘하는 곳?-여의도 목동 영등포 당산동 합정동 강남 선릉  진료과목 정형외과 통증의학과 재활의학과  삼성의원 외상 통증 클리닉

 

척추 근골격계 질환 인대강화주사 치료가 대세라고 하는데?

 

장미가 필 무렵 날씨가 좋아 야외 활동하기에 좋은 계절이다.

축구나 야구와 같은 인기 스포츠뿐 아니라 골프, 배드민턴, 조깅, 등산 등 다양한 종목들을 즐기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야외활동의 증가와 더불어 척추 질환을 호소하는 환자도 이에 못지 않게 늘어나고 있는 추세다.

 

야외 활동이 늘어나는 비례만큼 부상의 위험성도 더욱 늘어나 자신의 건강상태를 고려하지 않는 무리한 운동은 신체를 건강하고 단단하게 만들어 주기보다는 오히려 해가 될 수도 있어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무리한 운동으로 인한 근골격계 손상이나 큰 질환으로 여겨지는 오십견 회전근계손상,허리 디스크도 초기에 주사치료 만으로도 큰 효과를 볼 수 있다.

 

소위 인대강화치료 라고도 불리는 프롤로테라피 인대강화주사치료 가 바로 그것이다.

 

프롤로테라피 시술을 전문으로 하고 있는 김병길 원장은 프롤로테라피란 증식(prolo)과 치료(therapy)의 합성어로, 인대나 근육의 힘줄을 강화 시켜 근본적으로 척추 및 근골격계 질환을 건강하게 만드는 인대증식치료법이라고 전 했다.

 

인대와 건, 연골 같은 뼈 및 관절 주위 조직에 세포 증식을 유도하는 약제를 주사해 약해진 조직을 강화 시켜 주는 방식이며, 미국에서 약 60년 전부터 시행되어온 안전한 치료법이라고 말 했다.

 

흔히뼈주사로 알려진 국소 스테로이드 주사요법과는 완전히 다른 치료법으로서, 인대나 힘줄에 직접 약물을 주입하여 손상부위를 강화시키고 뼈와 관절 주위 조직에 15~20% 고농도의 포도당 등의 증식제를 주입해 염증반응과 세포 증식 작용으로 새로운 조직의 활성화로 인대를 튼튼하게 만든다고 말했다.

 

다만 김원장은 조직의 염증반응과 세포 증식작용으로 인하여 개별적 특성에 따라

1~3일 가량 더 통증이 생길 수가 있으나 이는 활성화 과정에서 진행 단계이므로

크게 염려하지 않아도 된다고 말 했다.

 

인대강화주사치료는 실제 임상에서 여러 치료를 받아도 큰 호전이 없던 만성적인 목, 허리 통증환자나 퇴행성 관절염이라고 진단받은 환자들이 인대강화주사를 통해 회복되는 경우를 많이 경험한다고 전했다.

 

인대강화주사는 부작용 이 있나요?

인대강화주사에 사용되는 증식제가 포도당이나 PRP같은 인체에 무해한 물질이다. 따라서 치료를 반복하더라도 부작용이 별로 없다는 것이 장점이다.

 

그렇다고 모든 통증이 인대강화주사로 해결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정확한 진단으로 통증의 원인을 파악과 문제가 있는 부위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인대강화주사 치료 후에 초기에는 염증반응으로 인해 통증이 발생할 수 있다. 통증이 없는 경우부터 심한 통증까지 사람마다 반응이 다양하다.

 

이 기간을 지나면 조직의 증식과 재생을 통해 점차 치료효과가 나타난다. 우리 몸의 조직이 재생되기 위해서는 시간이 필요하며, 한 번의 주사로 인대나 힘줄 전체가 재생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인대강화주사는 일정기간을 두고 반복적으로 시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의사의 정확한 진단 하에 지속적으로 치료를 받는다면, 인대강화주사는 오랫동안 시달리던 통증에서 벗어날 수 있는 효과적인 치료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인대강화주사는 어떤 질환에 효과가 있나요?

 

프롤로테라피는 거의 모든 근골격계 질환들에 효과가 있는데, 허리디스크나 목디스크는 물론이고 만성 허리통증,불안정증 협착증과 오십견 어깨통증, 인대 손상, 테니스엘보, 골프엘보, 습관성 탈구, 스포츠 손상이나 교통사고 만성 통증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다만 프롤로테라피가 만병통치약은 아니다. 우선 한번 손상된 인대는 재생시간이 비교적 오래 걸리기 때문에 일회성 시술이 아닌 1~2주 간격으로 4-6, 2~3개월 후에 4회의 시술을 기본으로 하며, 6개월 뒤엔 50%까지 인대가 강화되어 관절의 안정성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인대 강화에 필요한 콜라겐 생성에 사용되는 비타민C의 파괴를 막기 위한 금연이나 평소 생활습관 개선 등 많은 노력이 병행돼야 한다.

근골격계 손상후 시술이나 수술이 필요할 만큼 증세가 크지 않았거나 이에 대한 부담감이 있는 경우에는 이를 통해 효과적인 치료가 가능하므로 운동 후 통증을 단순하게 치부할 것이 아니라 1- 2주 가량의 경과를 본 후 병원을 찾아 진단을 받아보는 것이 좋다. 더 심각한 질환으로의 발전을 막는 것은 조기 진단과 그에 맞는 치료가 가장 중요하기 때문이다
.

메디아이데일리 은지원기자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