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반통증:천장관절증후군 인대강화(프롤로)주사치료 

 

1905 Goldthwait Osgood에 의해 천장관절의 기계적 병변이 배통과 둔부, 하지의 후방에 연관통을 일으킨다는 것이 처음 보고되었습니다.

 

1)천장관절에 통증을 느끼는 환자들은 전형적으로 5 요추 이하에서 허리통증을 호소합니다. 통증은 대부분 한쪽으로 국한되어 있지만, 때때로 양측성으로 나타나기도 합니다. 천장관절의 통증은 보통 둔부, 서혜부, 후외측 대퇴부에서의 연관통으로 인지하게 됩니다.

 

2)천장관절의 통증은 천장관절이 윤활관절이라는 점에서 천장관절염에 의한 통증이 생길 수 있으며, 경막의 병변에 기인한 천장관절 주위의 통증도 생길 수 있습니다.

 

3)또한 천장관절 주변의 인대손상이나 과사용도 통증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최근 연구에서는 이학적 검사로는 통증이 재현되기 어려우며 천장관절 내로 주사를 놓아 통증이 완화되는 것을 확인하는 것이 가장 좋은 진단 방법이라고 보고되고 있습니다.

 

 

4)천장관절증후군은 15-35세의 여자에서 호발하며, 엉덩이로 떨어지거나 외부 손상에 의해 발생하는 경우, 임신과 연관되어 발생하는 경우, 골반변형에 의해 천장관절에 지나친 장력이 작용하는 경우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5)통증은 전형적으로 자세와 연관이 있으며, 천장관절 인대에 계속해서 하중이 가해지거나 부하가 증가한 경우에 발생하게 됩니다.

 

특징적인 점은 어떤 자세를 계속 유지할 때 통증이 유발되는 것입니다. 대개 장시간 서있거나 걸을 때 통증이 증가되며 자세를 바꾸거나 움직임에 의해 통증이 소실됩니다.

 

6)누워있을 때에도 같은 자세로 계속 있으면 통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통증은 허리를 굽히거나 계단을 오를 때 에 심해집니다. 기침을 하거나 재채기를 하면 더 증상이 심해지는 경막 징후는 나타나지 않습니다.

 

7)치료는 천장관절에 후엔 특수 물리치료 및 자기장치료로 통증을 완화시키고, 골반변형이 있는 경우는 골반교정과 함께 천장관절인대에 증식액을 주사하여 인대를 강화시켜 주는 프롤로치료를 하여 상태의 개선을 유도하는 것입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