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릎관절통증 원인과 치료
-원인:외상,퇴행성관절염,활액막염, 무릎 관절신경,힘줄 인대염증 긴장 및 손상,무릎연골손상 기타 등.
-치료:진통소염제 투여, 물리치료(온열치료, 운동치료 극초단파,자기장치료)등이 있으며, 국소주사요법,신경차단술, 프롤로치료 등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1)외상이나 퇴행성관점염 증상 없이 의외로 무릎관절통을 호소하는 환자분들이 많습니다.
2)무릎 통증으로 내원하여 방사선검사 을 해보면 무릎관절의 연골이 닳아 관절 간격이 좁아지면서 통증이 생기는 이유는 골극이 관절의 피막인 골막을 자극해서 통증을 일으키기 때문입니다.
3) 무릎의 퇴행성 관절염은 관절 연골이 닳아서 윤활 기능이 없어지고, 골극이 생기며, 연골하골의 경화, 활액막의 섬유화, 관절 피막의 비후화 등 일련의 변화를 말합니다.
-퇴행성 변화가 있더라도 활액막의 염증으로 여출물이 생기거나 관절의 강직, 관절 피막의 비후, 관절에 골극 형성이 있기 전 까지는 아무런 증상이 없습니다.
4)관절 퇴행에 의해 통증이 생기는 기전은 관절을 이루고 잇는 뼈의 심한 변형이 있거나, 골극이 심하게 나와 관절 피막을 자극해서 생기는 것입니다.
5)통증은 골극이 골막을 신장시키거나, 인대의 부착점이 골화를 일으켜 생긴 것으로 생각되고 있습니다. 증상으로는 무릎의 통증, 강직, 마찰음, 대퇴사두근의 위축, 관절 연변 뼈의 비후 등이 있습니다. 방사선 상으로는 관절 간격이 좁아지고, 골극이 보이며, 연골 밑에 있는 뼈의 경화를 볼 수 있습니다.
6)무릎의 관절 신경은 관절을 감싸는 관절 피막에 망상으로 분포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무릎연골의 단순 마모와 무릎통증과는 무관하고 형성된 골극이 관절 피막을 자극할 때 통증이 생기게 됩니다.
또한 내측 관절 신경과 외측 관절 신경이 무릎의 뒤쪽에서 압박당하면 무릎 앞쪽에서 통증이 느껴지게 됩니다.
7)신경통은 통증을 담당하는 무릎안쪽관절신경(medial articular branch)은 궁둥신경의 정강신경(tibial n)과 함께 넙다리 뒤로 내려오다가 안쪽 위관절융기(medial epicondyle)의 양간 상부에서 갈라져 무릎앞쪽으로 넘어와 무릎관절피막의 안쪽에 망상으로 분포합니다.
-무릎바깥쪽관절신경(lateral articular branch)은 궁둥신경의 종아리신경(peroneal n)과 함께 내려오다가 가쪽 위관절융기(lateral epicondyle)의 약간 위쪽에서 갈라져 무릎 앞쪽으로 넘어와 무릎관절피막의 바깥쪽에 망상으로 분포됩니다.
8)무릎의 관절신경은 관절안쪽의 활액면에 분포된 것으로 오인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관절의 감각신경이 망상으로 갈라지기 전에 넙다리뼈의 양쪽 위관절 융기 뒤쪽에서 반막모양근이나 넙다리두갈래근의 아래 부분 밑을 지나 앞으로 갑니다. 이 근육들에 통증유발점이 생기면 관절신경들이 압박받아 신경의 분포를 받고 있는 무릎 앞쪽 피막에 통증을 일으킵니다.
9)그 밖에 거위발 힘줄, 무릎인대, 넙다리곧은근(rectus femoris m) 힘줄, 장딴지빗근(plantaris m) 증이 무릎통증의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10)무릎의 내측 관절 신경은 대퇴골 하부 후면에서 경골신경에서 갈라져 나와 반막양근과 대퇴골 사이로 해서 관절의 내측 전방 쪽으로 넘어와 외측 관절 신경과 문합을 이루어 분포합니다.
-무릎관절의 외측관절신경은 대퇴골의 하부 후면에서 총비골신경에서 갈라져 나와 대퇴이두근과 대퇴골두 사이로 해서 무릎관절의 외측전방으로 넘어와 내측 관절신경과 문합을 이루어 분포합니다.
-이러한 감각신경이 주행 도중에 압박당하면 아무런 병변이 없는데도 관절 앞쪽에서 통증을 느끼게 되고 따라서 관절 내에 어떤 이상이 있는 것으로 착각하게 됩니다.
-무릎관절 신경통의 원인은 반막양근에 있는 통증유발점이 내측관절신경을, 대퇴이두근에 있는 통증유발점이 외측 관절 신경을 압박해서 생기며 계단을 내려갈 때에 더 심합니다. 또한 대퇴신경통으로 대퇴사두근이 긴장하면서 무릎 앞쪽에 통증이 생기기도 합니다.
진단 및 치료
1)영상검사나 이학적검사로 무릎관절 내부의 인대나 연골판 등에 손상이 없는지를 먼저 확인해 보아야 합니다.
2)환자가 엎드린 상태에서 넙다리뼈 하단의 안쪽위관절 융기 또는 가쪽위관절 융기의 약간 상부를 촉진해보면 강한 압통점과 jump sign이 나타납니다.
안쪽의 압통점은 무릎안쪽관절신경을 압박하는 반막모양근(semimembranosus m)에 있는 통증유발점이고 바같쪽의 압통점은 넙다리두갈래근의 통증유발점입니다. 이 통증유발점에 국소주사를 해주면 대개 증상이 호전되게 됩니다.
3)치료는 대증요법으로 진통소염제 투여, 온열치료, 운동치료 등이 있으며, 국소주사요법, 프롤로치료 등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퇴행성 관절염 환자가 호소하는 통증 중 일부는 신경의 장애 때문인데, 이러한 경우는 해당 신경에 주사요법을 통해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습니다.
'허리,골반,무릎 아플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척추전방전위증 허리통증 자세이상 다리가 저리고 아플 때 비수술적 치료 (0) | 2016.07.07 |
---|---|
척추 디스크 치료의 정석! 추간판탈출증(디스크)치료는 어떻게 치료 받는게 좋을까? (0) | 2016.06.08 |
무릎 앞 통증 무릎연골연화증 원인과 치료 목동 신길동 정형외과 통증의학과 (0) | 2015.08.26 |
허리통증 요통으로 알아보는 척추관련 질병~ (0) | 2015.06.24 |
무릎 통증 무릎 관절증 (Gonarthrosis) 영등포정형외과 당산정형외과 양평동 정형외과 삼성의원 척추 관절 클리닉 (0) | 2015.06.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