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호선 영등포구청역 4번(경찰서방향)  사거리 삼성의원은 척추. 관절(협착증. 관절염. 회전근개질환. 디스크 염좌) 통증치료와 골절 외상 스포츠손상 자세교정 정형외과 통증의학과 질환을  비수술적요법으로 진료합니다

 

*오시는 길

 2호선 영등포구청역 4번출구(경찰서방향) 직진 횡단보도

(1층에 농협은행. 21세기 약국) 



 

 


* 진료시간: 매주 수요일 8시까지 야간진료중입니다

                      공휴일:9:00~13:00

 

 

주차무료 

영등포구청 사거리 삼성 ABC상가 삼성(2차)래미안 아파트

래미안아파트 건물 뒷편1층.지하1층

 

서울 영등포구 당산동4가 94-1 삼성2차(래미안)아파트 삼성ABC프라자2층  [서울 영등포구 당산로 36길12 ]

 


 

무릎 관절증 (Gonarthrosis)-삼성의원 척추관절 외상 클리닉 진료과목 정형외과 통증증의학과 재활의학과

 

무릎에 염증이 발생하는 모든 질환을 무릎 관절증이라고 합니다. 특별한 원인없이 발생하는 일차성 무릎 관절증과 외상이나 질병, 기형의 원인으로 발생하는 이차성 무릎 관절증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원인

일차성 무릎 관절증의 경우 무릎의 퇴행성 변화로 관절을 이루고 있는 연골, , 관절막에 병적인 변화가 나타나서 통증과 기능장애, 변형을 유발 합니다. 이차성 무릎 관절증은 세균성 관절염이나 결핵성 관절염으로 관절연골이 파괴되거나 심한 충격이나 반복적인 외상으로 발병되기도 합니다.

 

증상

무릎이 아프고 붓거나 관절의 운동 범위가 줄어드는 증상이 대표적이며 삐걱거리는 소리가 들릴 수도 있습니다. 무릎에 걸리는 하중 때문에 병이 진행하면 연골 조직이 많이 닳아서 무릎 통증이 악화되고 다리가 휘거나 절룩거리는 증상이 있을 수 있습니다.

 

진단

 

단순 방사선 사진이 진단에 도움을 줍니다. 동위 원소 검사는 무릎 혈류의 증가, 골형성의 활성화를 볼 수 있으며, MRI 검사를 통해 연부조직의 이상이나 관절 연골 및 반월 연골판의 상태를 보는데 유용하고, 진단적으로 관절경을 시행하면 골 병변이 나타나기 이전에 연골의 변화와 상태를 관찰할 수 있습니다.

 

치료

통증이 있는 경우 초기에는 약물치료,물리치료 등으로 치료하게 됩니다.

중 중일 경우는 주사치료를 병행 하여야 하며,인대, 연골판 파열이나 십자인대 파열 등은 조직 손상 정도에 따라 비수술적치료(프롤로&DNA프롤로주사)시행하며,또는관절내시경수술로 치료를 하게 됩니다.

퇴행성 관절염이 심하고 보존적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경우 인공 관절 치환술을 시행하기도 합니다.

 

DNA 프롤로치료란?

우리 몸에서 손상이 발생한 부위에 DNA 용액을 주입하여 손상 조직에 치유반응이 일어나게 유도하여 주는 최신 치료 방법입니다. 수술이나 마취 없이 시술이 가능하며, 매우 강한 치유 반응을 일으켜 기존의 고농도 포도당과 같은 용액을 이용한 증식치료 보다 매우 빠른 조직 재생 효과를 나타냅니다.

DNA
프롤로치료의 특징

이 치료법은 DNA 자극 용액을 이용하여 손상 부위를 수술 없이 재생시켜 주는 치료법입니다. 가늘고 작은 주사 바늘을 이용하여 손상 부위에 자극 용액을 투여하므로 큰 통증 없이 치료가 가능하며, 시술 내내 환자분은 시술자와 대화가 가능합니다.

 

또 다른 시술의 장점은 통증 부위가 신체 여러 곳에 동시에 나타나는 경우도 별 다른 부작용 없이 동시에 여러 곳의 시술이 가능하다는 점입니다. 부위당 시술 시간 또한 매우 짧아 환자분의 시술이 결정되시는 순간 부터 5-10분 정도면 모든 시술 준비와 시술이 종료되어 시술이 끝나고 약 10분 정도 후에 바로 귀가가 가능하십니다. 시술로 인해 일상생활, 사회생활, 가사일 등에 큰 지장을 주지 않으며, 시술로 인한 일상생활의 저해 정도가 매우 작습니다.

DNA
프롤로치료의 적응증

어깨질환:오십견, 충동증후군, 회전근개 파열, SLAP병변, 재발성 탈구, 어깨인대손상

팔꿈치 질환:골프엘보, 테니스엘보, 팔꿈치인대손상, 주관증후군, 요골관증후군

손목질환:손목인대손상, 손목힘줄손상, 손목건초염, 삼각섬유연골 복합체손상, 방아쇠 수지

골반통증:천장관절인대손상, 골반불안정, 산후골반통, 골반틀어짐, 만성 골반통증증후군

무릎질환:주변부 반월상연골손상, 초중기 퇴행성 관절염, 인대손상, 만성 건 질환

발목 및 발질환:만성 발목인대손상, 아킬레스건 손상, 족저근막염

허리통증:후관절증후군, 분절불안정, 허리인대손상

목통증:근막통증후군, 목인대손상

 

PDRN프롤로치료

-PDRN(PolyDeoxyRiboNucleotide)
은 생체내에 존재하는 조직재생 활성화 물질로서, 고온 멸균 이후에도 활성을 유지하는 특성이 있어 안전하게 임상에 적용이 가능합니다.

-DNA base
공급으로 세포 및 조직재생의 원료로 작용하여 빠른 조직 재생이 가능합니다.

-adenosine A2 receptor
에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VEGF 분비를 유도하여 신생혈관 생성을 촉진하고, 성장인자 분비를 촉진하며 fibroblast를 활성화 시켜 조직치유 속도를 향상시킵니다.

-
성장인자는 생체내에서 반감기가 짧은 반면, PDRN은 특정 크기의 DNA fragment를 사용하므로 보다 지속적인 효과를 나타냅니다.

작용기전

1.A2 purinergic receptor
에 선택적으로 작용하여 VEGF 분비를 유도하여 신생혈관 생성을 촉진하고 미세 혈액 순환을 개선시킵니다. 세포 성장이 촉진되고, fibroblast의 수가 증가하고 분비가 활성화되어 조직재생이 이루어집니다.

2.salvage pathway
가 활성화되어 DNA 생합성이 촉진되고 기질재생이 촉진됩니다.

3.
혈소판에 대한 친화력이 강해 PRP 프롤로주사와 병행시 재생기능이 더 장기적으로 유지되게 됩니다.

4.
콜라겐 단백과 비콜라겐 단백의 생성이 동시에 촉진되므로 보다 더 정상에 가까운 조직의 형태로 복원되게 됩니다.


PDRN: Pharmacological data summary

최근 많은 연구자들이 새로이 세포 성장을 자극하는 extracellular nucleotides nucleosides의 중요성을 조명하고 있다. 실험에서 서로 다른 길이의 DNA polymer들의 혼합물인 Polydeoxyribonucleotide(PDRN)가 섬유아세포와 콜라겐을 자극하는 결과를 나타냈는데 이는 purinergic receptor system을 자극하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이 실험에서 배양한 인체 골아세포에서의 PDRN 효과를 평가했는데, 그 중에서도 세포 분열과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에 중점을 두었다. 6일 후 100/㎖ 농도의 PDRN투여군은 대조군에 비해 높은 골아세포 성장의 증가(+21%)를 유도하였다. DMPX 50μ M suramine(P2 inhibitor) 10 μ M을 첨가한 경우 다른 결과를 나타내었다: Suramine DMPX가 감소하는 동안 확실한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PDRN은 세포 성장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PDRN을 처치한 세포들이 6일째 시험 결과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낮은 phosphate activity를 나타내기는 하지만 전체적으로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는 시험 시작일부터 10일까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실험 데이터들로부터 PDRN이 골아세포 성장 자극제로 작용한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PDRN의 작용은 A2 purinergic receptor에 의해 전달된 purinergic system을 자극함으로써 발현되지만salvage pathway와 같은 다른 mechanism에도 관여하는 것으로 보인다. 1

배양한 인체 피부 fibroblast의 성장과 단백 분비에 대해 Oligo- 혼합물 및 PDRN이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PDRN DNAase으로 처리한 PDRN 두 종류 모두 비슷한 정도로 세포 증식을 자극하였다.

 

배양한 fibroblast를 두 종류의 PDRN 존재하에 방사선 동위원소 아미노산으로 incubation하였을 때 방사선 동위원소가 분비된 단백질 내에 포함되는 정도는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러한 촉진 작용은 fibronectin을 포함한 특정 단백질 성분들에 대해 특이적인 것으로 보인다. 이 결과는 PDRN nucldeotides 및 그 분해로 생성된 nucleosides signal transducer로 작용하거나 혹은 흡수되어 salvage pathway에서 퓨린 및 피리미딘 링을 공급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 실험의 결과로 PDRN PDRN DNAase로 처리한 PDRN 두 가지 모두 배양한 인체 fibroblast의 성장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PDRN 존재하에 배양한 세포들은 단백질의 합성 및 medium으로의 분비를 촉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2

Nucleotides, nucleosides
및 퓨린/피리미딘 염기가 in vitro에서 세포 증식을 촉진한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mitogenic activity에 개입하는 분자 메커니즘은 여전히 논란이 되고 있다. 이들 화합물은 성장 인자와 상승 작용을 하며 또한 purinergic receptor에 직접적으로 작용하여 증식 반응 자체를 유도하기 때문이다.

 

세포 성장 촉진은 A2 purinergic receptor 활성에 의해 매개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여기서 우리는 PDRN 및 아데노신이 초대배양에서 인체 피부 fibroblast의 성장율을 증가시킴을 확인하였다. PDRN으로 발현된 증식 활성은 A2 길항제인 3,7-dimethyl-1-propargylxanthine(DMPX)에 의해 상쇄되었으나 A1 길항제인 8-cyclopentyl-1,3-dipropylxanthine(PD 116,948, DPCPX)으로는 상쇄되지 않았다. 그에 따라 PDRN trophic effect A2작용제인 N6-[2-(3,5-Dimethoxyphenyl)-2-(methylphenyl)-ethyl] adenosine(DPMA)과는 비슷하게 나타난 반면 A1작용제인 N6-cyclopenthyladenosine(CPA)으로는 어떤 작용도 나타내지 않았다.

 

 Microfluorimetric study에서는 PDRN과 아데노신이 세포질의 칼슘 이온 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PDRN에 의해 발생한 칼슘 이온의 증가는 용량 의존적이었고 DMPX에 감수성이 있었다. 이러한 시험 결과들을 통해 종합적으로 판단한 결과 PDRN이 배양된 세포에 충분한 양의 mitogenic deoxyribonucleotides, deoxyribonucleosides 및 염기를 제공하는 pro-drug으로서 작용한다고 볼 수 있었다.

 

또한 PDRN에 의해 유도된 세포의 증식 및 조직 수복 촉진 작용은 A2 purinergic receptor의 활성화에 의해 매개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 결과 PDRN은 광범위한 양의 퓨린 및 피리미딘 화합물을 유리하고 모든 퓨린 수용체에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PDRN의 작용에 의한 A2 수용체 subtype purinergic receptor의 활성화가 세포의 증식 및 조직 수복을 촉진하는 것으로 확인된 만큼 치료제로서 PDRN의 기능은 매우 긍정적인 것으로 여겨진다.

3

References

1. Polydeoxyribonucleotide(PDRN) promotes human osteoblast proliferation: A new proposal for bone tissue repair: Life Sciences Vol.73 2003, 1973 – 1983

2. Effect of polydeoxyribonucleotides(PDRN) on human fibroblasts in primary culture: Cell Biochemistry and Function Vol.17 1999, 107 – 114

3. Polydeoxyribonucleotide(PDRN) enhances the proliferation of human skin fibroblasts: Involvement of A2 Purinergic receptor subtypes: Life Sciences Vol.64 No.18, 1999, 1661 – 1674

 

 

 

,어깨 견갑통증의 원인과 치료:

 

목통증,목어깨(경견부) 견갑통증,어깨통증,어깨뭉침,어깨결림 등의 증상을 일으키는 원인은 매우 다양하지만 최근에는 척추의 정렬 이상과 관련된 역학적 원인의 통증이 가장 흔한 원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역학적 원인의 목,어깨 견갑통증

1),어깨통증은 여러 가지 다양한 원인에 의해 생길 수 있으나, 대개는 인대, 근육, 목뼈의 정렬상태의 이상과 관련된 역학적 원인에 의한 경우가 가장 흔합니다.

 

2)이와 같은 역학적 원인에 의한 목,어깨통증이 만성적으로 지속되는 경우는 그 원인을 명확히 파악하여 치료를 해주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7개의 목뼈중 상부의 2개는 두개골과 연결되어 있으며, 하부 5개에 비해 두부의 좌우 회전과의 연관성이 큰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3)목의 안정성은 뼈들 간의 후관절, 디스크, 근육, 인대 등에 의해 지지되고 있습니다. 목뼈의 정렬상태의 이상이 있는 경우 목이 갑자기 꼬이는 것과 같은 사경성 목 통증이 생길 수 있으며, 목을 뒤로 제치거나 목에 작은 충격에 의해서도 쉽게 통증이 악화될 수 있습니다.

 

잠을 자고 나서 갑자기 목을 움직이기 힘든 정도의 목 통증이 느껴지기도 합니다. 목디스크의 변성, 목의 퇴행성 척추증도 역학적 원인의 목통 증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4)통증은 목에서 시작되어 어깨와 두부로 방사되는 경향이 있으며, 목의 움직임에 제한이 있고, 목을 움직이면 통증이 악화됩니다. 통증이 팔을 타고 전달되어 바늘로 찌르는 것 같은 느낌이 들 수 도 있습니다.

 

5)역학적 원인의 목통증의 증상을 보이면 목의 정렬상태에 대한 방사선촬영, 목의 부착인대와 근육에 대한 적외선 체열검사(DITI검사), MRI검사 등을 통해 상태를 파악하게 됩니다.

 

6)치료는 증상 완화를 위해 경구 소염제투여, 물리,재활치료를 우선적으로 하게 됩니다. 그러나, 통증이 점차적으로 심해지는 경우, 어깨관절, 팔의 움직임의 제한 또는 감각이상 등의 증상을 보이는 경우에는 보다 적극적인 프롤로 치료가 바람직합니다.

 

통증이 다소 완화되면 자세교정, 목근육의 스트레칭, 목의 지지 근육 강화운동을 통해 재발의 방지를 도모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목 어깨통증(경견부통증)

-경견부 통증이란 목에서 어깨로 이행되는 부위, 견갑골 주위, 양측 견갑골 사이 영역의 통증을 의미합니다.

 

-상기한 부위중 한 영역에서만 통증이 나타 날수도 있고, 두 영역이상에서 동시에 통증이 나타 날수도 있습니다.

 

-원인 질환은 근육의 과긴장, 근막통증, 견관절 다방향불안정성, 척추골절/늑골골절, 경추의 후관절증후군, 경추디스크, 경추 척추관협착증, 대상포진 등과 같은 여러 가지의 원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대체로 어떤 특정 동작과 연관되어 있는 경우는 구조적 이상이 원인인 경우로 봅니다. 동작과 관계 없이 통증이 오는 경우는 염증성 또는 신경성 통증으로 봅니다.

 

-견갑골 주위에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는 근막통증, 경추신경근과 관련된 통증인 경우가 많으며, 이 두 경우는 견갑골의 위치이동 즉 견갑골 이형성증과 관련이 있습니다.

 

견갑골 이형성증(SICK)

-견갑골이형성증 이란 견갑골의 이상위치, 견갑골 하내측 경계의 돌출, 오구돌기의 통증과 이상위치, 견갑골의 이상운동을 특징으로 하는 임상 상태를 말합니다.

 

-일종의 근육 과사용 피로증후군입니다.

 

-견갑골의 비대칭적인 이상 위치로 검사상 한쪽 어깨가 다른 한쪽보다 낮게 위치합니다.

 

-근육 활성화의 변화를 통해, 견갑골의 운동이상을 초래합니다.

 

-하측 내측 견갑골 경계 돌출, 내측 견갑골 경계 돌출, 상내측 견갑골 경계 돌출의 세가지 유형이 보고되어 있습니다.

 

-견갑골 이형성증과 "포크레인 이론(Excavator theory)"

어깨 운동의 운동 사슬(kinetic chain)을 포크레인과 유사하다라고 보는 이론입니다.

 

-즉 땅은 우리 몸의 몸통, 포크레인의 몸통은 견갑골, 포크레인의 팔은 회전근개라고 보는 것입니다.

 

-, 견갑골의 위치가 틀어졌거나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지 않다면, 이에 따라 회전근개와 어깨 안정성에 중요한 구조물에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는 의미입니다.

 

 

경추신경근과 관련된 통증

-경추신경근 주위에 원인이 있는 경우 구조물 자체의 통증 수용체에서 느끼는 통증(nociception), 국소적 염증반응에 의한 통증, 신경근의 신경전달 방향으로의 통증과 같이 세가지 종류의 통증이 올 수 있습니다.

 

-Cannon 박사는 신경에 의해 지배 받는 모든 조직과 구조물들은 신경이 보낸 nerve impulse에 의해 그 기능을 유지하게 되는데, 신경전달 흐름에 문제가 발생 하게 되면 해당 지배 조직은 매우 과민한 상태로 변해 통증을 느끼게 된다고 보고하였습니다.

 

-즉 신경지배 자체가 일종의 영양공급이며, 신경전달이 정상적으로 되지 않아 통증성 문제조직으로 변하게 된다라고 보고하였습니다("Denervation supersensitity theory" by Dr.Cannon).

 

견갑거근 질환에 의한 경견부통증

-소파에서 자는 경우와 같이 좋지 않은 수면 자세에 의해 아침에 심한 경견부 통증과 목의 심한 운동제한이 오는 원인이 됩니다.

 

-견갑거근은 제 1,2,3,4번 경추 횡돌기 또는 경추 측면에서부터 견갑골 상내측을 연결하는 근육으로 두부를 옆으로 회전시키는 기능을 합니다.

 

-통증부위는 목과 어깨가 만나는 경견부와 견갑골의 내측입니다. 견갑거근의 스트레칭은 머리를 옆으로 제치면서, 고개를 반대편으로 돌리는 동작을 반복하는 것입니다.


상부 승모근질환에 의한 경견부통증

-상부승모근은 경추의 후방에서 쇄골까지 연결되어 있습니다.

 

-통증부위는 경부 후방의 편측과 후두부, 눈주위, 턱뼈의 하연입니다. 승모근의 스트레칭은 머리를 옆으로 제치면서 고개를 같은 방향으로 돌리는 동작을 반복하는 것입니다.

 

견갑거근 질환/승모근 질환의 치료

-소염제투여와 증상완화를 위한 재활치료, 운동치료를 시행합니다. 국소적인 심한 통증의 경우 통증유발점에 대한 국소주사요법을 제한적으로 시행합니다.

 

-상기의 치료에도 장기간 심한 통증이 지속되는 경우 체외충격파치료 도는 프롤로치료를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승모근과 견갑거근의 만성적인 병변에 의해 경추 또는 흉추의 변형이 동반된 경우 척추의 정렬상태의 개선을 위해 척추교정을 하면서, 승모근과 견갑거근의 상태 개선을 위한 운동치료를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능형근 질환에 의한 경견부통증

-능형근은 견갑골 내측경계와 흉추를 연결하는 근육으로, 선반 위로 물건을 올리는 동작과 같이 팔을 어깨 높이 위로 들어 올리는 동작, 테니스, 조정, 무거운 책가방을 매는 경우, 한쪽 어깨로 가방을 매는 경우, 컴퓨터의 장기간 사용 등에 의해 발생합니다.

 

통증의 발생 위치는 양측 견갑골 사이의 흉추부 입니다. 치료는 견갑거근, 승모근 질환에서와 동일합니다.

 

전거근 질환에 의한 경견부통증

-전거근은 상부 8개 늑골에서 견갑골의 흉곽측 면까지 연결되어 있는 근육으로 long thoracic nerve의 신경지배를 받습니다.

 

-복싱의 잽동작과 같이 견갑골을 전방으로 이동시켜 주는 역할을 합니다.

 

-전거근의 기능 부전시에는 견갑골의 내측 경계가 돌출되는 익상견이 발생하게 됩니다. 반면 승모근의 기능부전에 의한 익상견시에는 견갑골의 외측 경계가 돌출되게 됩니다.

 

-전거근의 기능은 견갑골을 앞으로 이동시키는 기능, 견갑골의 외전과 관절와의 상방 이동, 능형근, 승모근 중앙부와 함께 견갑골의 내측경계를 흉추와 흉곽에 안정되게 고정시켜주는 역할을 합니다.

 

전거근 기능이상

전거근의 지배신경인 long thoracic nerve의 외상, 신경압박, 신경염 등에 의해 발생하며, 전거근의 기능이상이 의심되면, 익상견의 wall test를 시행합니다. 압박에 의한 경우 압박 원인을 수술적으로 제거 해야 하며, 전거근의 강화운동을 시행합니다.

 

다방향 어깨 불안정  
-
다방향 불안정성은 두 방향 이상으로 증상을 보이는 관절 이완의 상태로 정의되며, 이는 선천적으로 견관절이 이완되어 있거나 과도한 운동으로 인해 관절 낭과 인대가 이완되어 나타나는 불안정성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불안정성의 일차적 원인은 과도하게 이완된 관절 낭이지만 여러 요인들이 작용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습니다.

 

-다방향 불안정성은 견관절의 중간 운동범위(mid-range)에서 불안정한 것이 특징이기 때문에 일상 생활에서 외상성 단방향 불안정성보다 더 많은 문제점이 있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불안정성이 나타나게 되면 적극적인 치료를 시행하여야 합니다.

 

-다방향 불안정성에 대한 치료 목적은 불안정성을 제거하고 동통을 소실시켜 정상 운동을 가능하게 하며 일상 생활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있습니다.

 

-비외상성 다방향 불안정성은 비수술적 치료의 성공률이 80~90% 정도로 보고되고 있으며, 따라서 재활 치료와 생활 습관의 변화가 일차적 치료 방법으로 선택되고 있습니다.

 

- 재활 치료 중 견관절을 불안정하게 하는 자세나 운동은 삼가 하여야 하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작은 범위의 외전 운동(short-arc abduction exercise)이 적합합니다.

 

-재활 운동의 진행 속도가 빠르거나 너무 과도한 경우는 약해진 근육들이 피로해져 실패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속도 조절이 중요하며 팔을 항상 어깨보다 낮은 위치에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다방향 불안정성을 가진 환자는 종종 관절내 활액막 염을 가지고 있으며 이차적 충돌 증후군(secondary impingement syndrome)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재활 운동시 동통이 많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경구 소염제투여, 초음파유도하 국소주사 등을 병행하여 통증을 조절하면서 재활치료를 해나가는 것이 좋습니다.

 

-재활 치료 초기에는 삼각근과 회전근 개를 강화시키는데 중점을 두며 견갑-흉곽 안정화 근육도 서서히 강화하여 근육들 사이의 협조 능력을 회복시켜 주는 것이 좋습니다.

 

-승모근(trapezius)은 어깨 움츠리기 운동(shrug exercise), 전방 거근(serratus anterior)은 팔굽혀 펴기나 역기 운동(bench press exercise), 견갑 거근(levator scapulae)이나 능형근(rhomboid)은 노 젓는 운동(rowing exercise)을 통해 강화시킬 수 있습니다.

 

-이러한 운동은 최소한 6개월 이상 지속적으로 시행하여야 하며 재활 치료가 과도한 관절 이완을 없애는 것은 아니며 회전근 개와 삼각근의 근력 강화로 관절을 안정화시키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비수술적 치료에 반응을 보이지 않는 경우는 방카트병변, 회전근 간격, 오구-상완인대, 관절와-상완인대 등에 대한 프롤로테라피 또는 수술적치료를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익상견

-견갑골에는 많은 근육이 부착되어, 팔을 몸통에 견고하게 부착되게 하며, 어깨의 원활한 관절운동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견갑골 부착 근육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으면, 견갑골의 원활한 운동이 되지 않아 scapular dysrhysmia를 일으키고, 익상견(winging scapula)이 생기게 됩니다. 익상견에는 다음과 같은 유형이 있습니다.

 

전거근 기능이상

전거근의 지배신경인 long thoracic nerve의 외상, 신경압박, 신경염 등에 의해 발생합니다. 전거근의 기능이상에 의한 익상견이 의심되면 wall test를 시행합니다. 압박에 의한 경우 압박 원인을 수술적으로 제거 해야 하며, 전거근의 강화운동을 시행합니다.

 

승모근 기능이상

승모근 기능의 단독이상의 경우는 드물고, 종양 수술후 spinal accessory nerve가 손상되는 경우 등이 있습니다.

 

견갑 안정 근육의 약화

근 이영양증에서 발생하며, 이중 fascioscapulohumeral dystrophy 가 주 원인입니다.

 

견갑부착 구조물의 기능이상

-오구-쇄골관절, 견봉-쇄골관절은 견갑골이 몸통과 연결되는 유일한 연결점입니다.

 

-따라서, -쇄 관절 탈구, 쇄골 외측 1/3 골절, 오구-쇄골 인대 손상은 몸통과의 연결이 차단되어 익상견이 발생 할 수 있습니다.

 

-어깨통증은 심하지 않으나, 팔을 어깨 높이 위로 들어올리는 동작이 제한됩니다. 드물게, 견갑-흉곽 관절에 강한 외력이 작용해 scapulo-thoracic dissociation이 생겨 익상견이 발생 할 수 있습니다.

 

어깨 불안정에 의한 익상견

-익상견의 비교적 흔한 원인입니다. 어깨 불안정으로 인해 회전근개, 견갑 회전 근육등 어깨의 안정성에 중요한 구조물에 이상이 생겨 익상견이 발생하는 경우입니다.

 

-이 경우 비외상성의 경우가 외상성에 비해 익상견의 정도가 심하며, 외상성의 경우 탈구의 빈도가 높을수록 익상견의 정도가 심한 경향이 있습니다.

 

어깨통증에 의해 익상견이 생기는 경우

어깨통증으로 비정상적인 어깨 관절 운동의 결과로 생긴 경우입니다. 상완-관절와 관절의 운동범위가 감소하는 경우, 견갑-흉곽관절에서 보다 많은 어깨의 운동이 일어나게 됩니다.

 

상완 신경총 손상, 질병에 의한 익상견

상완신경총의 손상에 의해 견갑골의 부착근육이 약화되면 익상견이 올 수 있습니다. Parsonage-Turner 증후군은 상완신경총 신경염에 의해 익상견이 오는 경우입니다.

 

 

 

 

 

 

스포츠 외상 발목인대손상 분류 및 치료-

발목 염좌(ankle sprain)

1)발목과 발은 야외 활동이나 스포츠 활동 중 가장 흔하게 손상되는 부위로서, 모든 종목의 스포츠에서 발생될 수 있지만 특히 달리기, 농구, 축구, 야구 등의 구기종목과 달리기, 등산 등에서 보다 흔하게 발생 됩니다.

 

이중 인대손상이 가장 흔하여 전체 손상의 50% 이상이 발목인대 손상 입니다.

 

2) 발목손상의 대부분는 외측인대 손상은 내반과 족저굴곡에 의해 발생합니다. 그리고 이 손상은 종비인대에 앞서 전거비인대의 손상을 초래합니다.

 

3) 발목 염좌는 보통 염발음이나 파열음을 동반하나 이는 진단에 크게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다만 손상의 심한 정도에 따라 운동선수는 즉시 휴식을 취할지 계속 경기를 할지 결정해야 합니다. 외측인대손상에 대한 평가를 하기 위해 세개의 인대를 확인해야 하고 발목불안정성 정도를 평가 할 수 있어야 합니다.

 

4)발목 염좌(sprain)가 일어나는 주요 원인은 비골근의 약화, 고유감각의 손상, 기계적인 불안정성 등이다.

 

5)-발목과 발의 손상은 가벼운 단순 염좌와 같이 짧은 기간의 보존적 치료만으로 회복되는 경우가 많지만, 손상 후 재 손상 및 만성적인 통증이나 운동 능력의 저하를 호소하게 되거나 심한 급성 손상 없이 운동과 관련되어 만성적인 발목과 발의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들이 의외로 많습니다.

 

- 등급 2 손상은 인대가 어느정도 늘어나지만 끝부분은 단단히 고정된 상태입니다. 등급 3 손상은 끝부분이 견고성 없이 느슨한 상태입니다.

 

발목 염좌분류 와 치료

1)1도염좌 

인대섬유가 약간 늘어난 상태이며, 약간의 통증과 부종, 관절경직이 나타나며 손상 후 정상보행이 가능합니다.

 

다만 차후 합병증 및 빠른 회복을 위해서는 7일 전후로 부목 고정 치료를 병행해야 합니다.

2)2도염좌 

인대섬유가 약간 찢어지고 분리된 상태이며, 중간 정도의 통증과 부종. 관절경직이 나타납니다. 손상 후 정상 보행이 불가능 하며 부목 고정술 후 목발을 집고 다녀야 합니다..

경과 관찰 후 인대를 빠른 회복을 위해서는 프롤로(인대강화,증식)치료와 병행 하면 좋습니다.

 

3)3도염좌 

인대섬유가 완전히 찢어진 상태이며, 아주 심한 통증과 부종, 관절경직이 나타 납니다.

손상 후 체중지지 할 수 없고, 수술로 인대 재건과 불안정성을 회복 해야 합니다.

발복을 삔 후(염좌) 치료를 하지 않는다면 어떻게 될까요?

1)합병증이 생길 가능성이 아주 많습니다. 처음 발목을 삐어 부어 있을 때 부기를 빨리 빼지 않으면 부기가 그대로 굳어져 버립니다. 차후 발목 불안정증으로 인해 발목을 자주 삐는 경우 입니다.

 

마치 고인 물이 탁해지고 썩는 것처럼 염증세포 들이 없어지지 않고 계속 남아 만성 염증을 일으키게 됩니다. 만지면 아프고 많이 걸으면 더 붓기도 하고 뻐근해 지기도 합니다.

 

2)-발목을 삐고 나서 통증이 다소 가라 앉으면 나은 걸로 착각하는데, 회복되지 않은 상태로 바쁜 생활을 하다 보면 발목에 무리가 가서 다시 통증이 생기게 되는 것입니다.

 

발목이 삔 정도 1도는 인대가 늘어나거나 25% 미만의 인대섬유가 찢어진 것을 말하는데, 이 경우 대개 일주일 이내로 회복됩니다.

 

-문제는 2도 이상일 때입니다. 대략 50% 이상 찢어졌을 때를 말하는데 인대가 다시 붙으려면 약 4주 정도 걸립니다. 통증은 2주 이내로 가라앉지만

 

해부학적으로 정상이 되려면 시간이 필요합니다. 이 기간 중 다시 삐거나 무리를 하면 손상 부위가 덧나 조직이 상하게 됩니다.

 

이와 같은 경우는 초음파로 보며 손상부 주위의 염증 조직에 직접 소염제를 주사한 후, 인대가 빨리 나을 수 있게 프롤로 치료를 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발목의 치료와 운동은 어떻게 하나요?

1)발목 염좌의 초기 치료과정 에서 부종을 감소시키는 것이 중요하며 손상 후 부종, 출혈, 통증의 감소와 회복중인 인대의 보호하기 위해 우선 부목 고정술을 시행 합니다.

 

2)휴식(rest), 냉찜질(ice),압박(compression), 거상(elevation,) 보호(protection) 의 순으로 치료하며 빠른 시간 내에 PDRN 주사 치료와 체외충격파(ESWT) 도수운동치료 을 병행하면 치료에 더욱 더 큰 효과를 볼 수 있다.

 

3) 관절 가동범위 운동

운동치료 초기단계에서는 발목의 안쪽, 바깥쪽 움직임을 고정하고 발목의 위아래 운동만 실시한다. 인대 주위의 통증이 줄어들면 안쪽, 바깥쪽 움직임 운동을 실시한다.

 

4) 근력 강화운동

발목 보강운동은 발목 관절의 4방향 운동 면에서 실시한다. 발목의 안쪽, 바깥쪽 움직임 운동을 시행할 때 정강이와 무릎의 보상적 회전운동이 일어나지 않도록 각별히 주의한다. 가벼운 운동으로 횟수를 많이 반복하는 것은 인대와 발목관절에 나쁜 영향을 주지 않는다.

 

5) 고유 감각과 신경근육 조절운동

부상 초기 체중 지지운동을 실시하는 것은 고유 감각 소실을 줄여줍니다. 이것을 향상시키는 훈련은 두발서기로 시작해서 점차적으로 한발로 진행하며, 불안정한 지면에 대한 한발 버티기로 진행됩니다.

 

5) 수술적 치료

보존적 요법을 시행해도 효과가 없을 경우에는 수술 적 치료를 고려 해야 합니다.

 

수술법은 대체로 변형된 Brostrom 술식으로, 파열되거나 반복손상으로 늘어난 인대의 일부를 절개하고 봉합한 다음, 주변 연부조직을 덧대어 보강하는 수술법이 널리 행해지고, 신뢰도가 높습니다.

 

기술적으로 쉽고 발목관절의 운동범위를 보존할 수 있으며 비골 건의 손상이나 비복 신경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 Recent posts